美 백악관 “상호관세 이후 50개 이상 나라서 연락”

4 weeks ago 13

“시장 폭락 전략 아냐…美황금기 창출 위한 것”

AP
미국 백악관이 ‘트럼프표 상호관세’ 발표 이후 50개 이상 국가가 협상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실제 협상 개시 여부는 불투명하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 시간) ABC ‘디스위크’ 인터뷰에서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연락을 취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라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교역국에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주요 경쟁국인 중국에는 34%의 관세가 부과됐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책정됐다.

해싯 위원장은 “미국 소비자가 (관세의) 비용을 감당한다면 각국이 화를 낼 이유가 없다”라며 관세가 자국 경제에도 해가 된다는 주장을 일축했다. “각국이 화를 내고 보복을 하고 있다는 게 팩트”라는 것이다.

그는 상호관세가 “미국의 소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관세의 부담을 미국 소비자들이 지는 상황인데도 상대국이 보복에 나서는 건 논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이와 함께 “우리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무역 적자를 겪는 이유는 매우 비탄력적인 공급 때문”이라며 “그들은 중국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우리나라에 물건을 덤핑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000년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미국에 저렴한 상품이 들어오기는 했지만, 일자리는 줄고 임금도 하락했다는 것이다. 해싯 위원장은 이에 대항해 트럼프 대통령이 근로자를 공정하게 대하고 있다고 했다.관세로 인한 증시 폭락을 두고는 “이는 시장의 폭락을 위한 전략이 아니다”라며 “미국과 미국 노동자의 황금기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상대로 금리 인하를 공개 압박한 바 있다. 해싯 위원장은 관련 질문에 “우리는 연준이 독립적인 기관이라는 사실을 이해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대통령도 의견을 가질 수는 있다”라며 “대통령은 전적으로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연준에 어떤 정치적 강압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