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란티어의 현재 상황: 최근 S&P 500에 가입하고 주가가 급등하며, 기업 가치가 1000억 달러에 근접하고 있음. 과거에는 스파이 기술이나 NSA 감시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
1. 내가 팔란티어에 합류한 이유
- 의료, 항공우주, 제조, 사이버보안 등 어려운 산업의 실제 문제 해결에 관심이 있었음
- 이 분야에서 실리콘밸리 업무 문화를 가진 회사는 팔란티어가 유일했음
- 창업을 목표로 했기에 한 산업을 깊이 파고들고 미국 영주권을 얻을 수 있는 팔란티어가 좋은 선택이었음
- 초기 직원들의 높은 역량과 열정, 경쟁력이 매력적이었음
- 철학을 좋아하고 이상한 취향을 가진 진지하고 경쟁적인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는 페이팔 마피아의 유산이었음
- CEO 알렉스 카프를 포함한 경영진과의 면접에서 철학적 담화를 나누는 등 지적 웅대함과 경쟁력의 조합이 마음에 들었음
2. 현장 배치 엔지니어(Forward deployed, FDE)
- 팔란티어에는 고객사와 일하는 FDE와 제품 개발(PD)에 집중하는 엔지니어가 있었음
- FDE는 일주일에 3-4일을 고객사에 상주하며 많은 출장을 다녀야 했는데, 이는 실리콘밸리 회사로는 매우 이례적임
- FDE는 제조, 의료, 정보, 항공우주 등 어려운 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소프트웨어를 설계함
- PD 엔지니어는 FDE가 구축한 것을 제품화하고 FDE의 업무를 개선하고 가속화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듦
- 파운드리 제품의 초기 모습은 FDE가 고객사에서 수작업으로 처리하던 것을 PD 엔지니어가 자동화 도구를 만들면서 갖춰짐
- 당시에는 고객에게 이 도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주는 것이 과감한 발걸음이었지만 지금은 회사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함
- 팔란티어는 서비스 회사에서 제품 회사로의 성공적인 피봇을 이뤄냈고, 2023년 80%의 소프트웨어 수준 매출 총이익률을 기록함
- 고객사에 상주하며 그들이 일하는 방식에 대한 암묵지를 습득하는 것이 핵심이었음
- 무작위로 다음날 아침 비행기를 예약하고 출장 가는 것이 일상이었지만, 10년에 걸친 집중적 학습의 결과 성과를 거둠
- 에어버스와의 첫 FDE 경험으로 1년간 툴루즈에 머물며 A350 제조 확대 소프트웨어를 함께 구축함
- 작업 지시서, 부품 부족, 품질 문제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팀 간 협업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
- 범용성보다는 특정 문제에 대한 종단간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고, PD의 역할은 이를 일반화하여 다른 곳에 판매하는 것이었음
- FDE는 빠른 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 부채를 감수하고, PD는 확장성 있고 견고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역할 분담이 효과적이었음
- 고객사 내에 깊숙이 파고들어 신뢰를 얻고 빠르게 핵심 가치를 전달하는 FDE의 역량이 돋보였음
- 작은 고객 팀이 자율적이고 민첩하게 움직이고, 제품팀이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을 개발하는 모델이 강력했음
- 스페이스X나 팔란티어처럼 정치적 게임이 아닌 실제 성과로 차별화하는 기업이 더 필요함
3. 팔란티어의 비밀
- FDE의 또 다른 핵심 업무는 데이터 통합이었음
- 데이터 통합은 오랫동안 팔란티어가 하는 일의 핵심이었지만 그 중요성이 과소평가되어 왔음
- 최근 AI의 등장으로 기업의 깨끗하고 잘 정리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데이터 통합이란 (a) 기업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을 확보하고 (b) 데이터를 정제 및 변환한 뒤 (c)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함
- 파운드리의 기반 소프트웨어 상당 부분이 이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해주는 도구임
- 데이터가 PDF, 노트, 엑셀 등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해 통합이 어려움
- 조직 내 정치도 걸림돌인데, 특정 팀이 핵심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며 존재 이유를 삼는 경우가 많음
- 데이터 접근권을 확보하는 데만 파일럿 프로젝트 기간을 모두 소진하고 데모를 서둘러 준비해야 했던 경우도 있음
- 데이터 접근 문제의 상당 부분이 보안 우려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파악하고 플랫폼 전반에 걸쳐 보안 통제 기능을 구축함
- 역할 기반 접근 제어, 행 수준 정책, 보안 마킹, 감사 추적 등 다양한 데이터 보안 기능을 도입함
- 이러한 기능 덕분에 팔란티어 도입이 오히려 기업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옴
4. 문화에 대한 참고사항
- 팔란티어의 분위기는 정상적인 소프트웨어 회사라기보다는 메시아닉 컬트에 가까웠음
- 그러나 비판이 허용되고 장려되었는데, 신입 엔지니어가 전체 메일로 임원과 논쟁하기도 함
- 합리주의적 사고를 가진 철학과 졸업생인 나에게 이 점이 중요했음. 맹목적 추종이 아닌 세상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토론하는 회사에 관심이 있었음
- 입사 시 Impro, The Looming Tower, Interviewing Users, Getting Things Done 등의 책을 줌
- The Looming Tower는 회사가 9/11에 대한 대응으로 설립되었다는 배경 지식을 줌
- Impro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민감성, 즉 정치적 게임을 하는 능력이 FDE 성공에 중요함을 일깨워 줌
- Impro는 사회적 행동을 기계적으로 분석하는데, 'casting' 등 관련 용어가 사내에 널리 쓰임
- 고개를 가만히 하고 서서 손을 보이는 것은 높은 지위를,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고 손을 주머니에 넣는 것은 낮은 지위를 나타냄
- 이런 원리를 모른다면 고객사 환경에서 성공하기 어려웠을 것임
- 전직 FDE들이 훌륭한 창업자가 되는 이유 중 하나임. 구글 출신보다 팔란티어 출신 창업자가 YC에 더 많음
- 훌륭한 창업자는 회의 분위기, 집단 역학, 권력 관계를 읽어내는 감각이 있음. 이는 팔란티어가 FDE에게 가르치지만 다른 밸리 회사에서는 배우기 힘든 것임
- FDE는 빠르게 고객사의 언어를 배우고 비즈니스를 깊이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함
- 병원, 신약개발, 의료보험, 정보학, 면역항암요법 등 각 분야마다 전문 용어가 있고 이를 빨리 습득하는 사람이 성공함
- 재능있는 사람은 자신만의 어휘와 밈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그 사람만의 지적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함
- 회사도 마찬가지인데 팔란티어에는 'ontology', 'impl', 'artist's colony', 'compounding', 'the 36 chambers', 'dots', 'metabolizing pain', 'gamma radiation' 등 방대한 용어가 있음
- 피터 틸이 팔란티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많은 용어가 초기 직원, 특히 현 사장인 샴 산카르로부터 나옴
- 피터 틸은 내가 근무할 당시 회사 운영에는 관여하지 않았지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음
- 직함을 두지 않는 것도 피터 틸의 아이디어로 보임. FDE와 소수의 임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직함을 가졌음
- 직함을 만들면 사람들이 그것을 탐내게 되고 내부 정치와 경쟁을 유발한다는 지라르의 사상에 기반한 것으로 보임
- 계층이 없는 조직에 대한 비판도 많고 요즘 스타트업에서는 유행이 지났지만, 팔란티어에서는 잘 작동했음
- 영향력은 인상적인 성과에 기반했고, 누구도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하라고 지시할 수 없었음
- 영향력 있는 사람이 내 아이디어를 말도 안 된다고 해도 무시하고 옳다고 생각하면 만들 수 있었음
- 임원의 반대를 무릅쓰고 중요한 인프라를 만든 엔지니어의 일화가 미담으로 회자되며 이런 행동이 장려됨
- 단점은 회사에 명확한 전략이나 방향이 없어 보이고 똑똑한 사람들이 제각각 자기 영지를 구축하는 느낌이었음
- 그러나 이는 놀라울 정도로 창의적인 결과를 낳았음. Hex, Retool, Airflow 등 팔란티어에서 먼저 개발된 개념이 적잖음
- 회사는 지금도 대기업에 LLM을 배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를 만들고 있음
- 직함이 없어서 사람들의 인기가 들쭉날쭉했음. 누군가 영향력이 있다가도 몇 달 뒤 보면 눈에 띄는 일을 하지 않고 있었음
5. Bat-Signal(인재 유치 전략)
- 피터 틸로부터 비롯된 또 다른 아이디어는 인재 배트시그널(talent bat-signals)임
- 이제 내 회사를 차렸기에 그 중요성을 더 실감함. 훌륭한 사람을 모집하기란 어려운 일이고 차별화된 인재 풀이 필요함
- 매년 페이스북/구글과 스탠포드 CS 졸업생을 놓고 경쟁한다면 패배할 수밖에 없음
- (a) 다른 회사보다 특별히 당신 회사에 관심이 있고 (b) 대규모로 그들에게 다가갈 방법이 있는 인재 집단이 필요함
- 팔란티어에는 몇 가지 차별화된 인재 유치 전략이 있었음
- 첫째, 국방/정보 분야 일이 인기 없을 때 이 분야에 우호적이었던 사람들이 있었음. 평소보다 미국 중서부나 공화당 지역 출신의 엔지니어가 많았고, 실리콘밸리 회사에 매력을 느끼면서도 미국에 봉사하고 싶어하는 전직 군인, CIA/NSA 출신이 많았음
- 팔란티어 첫 출근 날, 내부 온보딩에서 만난 한 남자가 자신이 CIA에서 15년간 일했다고 했음. 내 첫 리더는 오하이오 출신의 전직 특공대 경찰이자 육군 베테랑이었음
- 이런 사람들이 많았고 대부분 굉장한 인재였지만 구글에는 가지 않았음
- 팔란티어는 이런 부류에게 유일한 '등대' 역할을 했고, 군대 지원과 애국심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비주류적일 때 이를 당당히 내세웠음
- 이는 매우 효과적이고 독특한 배트시그널을 만들었음 (이제는 Anduril과 수많은 국방 및 제조업 스타트업이 있음)
- 둘째, 초기 열풍이 가라앉은 뒤, 특히 트럼프 시대 팔란티어가 지탄 받을 때 회사에 합류하려면 좀 이상해야 했음
- 이는 '미션 중심'이라는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브랜딩에서 비롯되었지만, 장시간 근무, 시장 이하 급여, 잦은 출장이 요구된다는 점도 회사가 떠들썩하게 알렸음
- 한편으로는 정부와 일한다는 이유로 실리콘밸리 채용 박람회에서 쫓겨나기도 했음
- 이 모든 것이 나쁜 소식에 흔들리지 않고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특정 부류의 사람을 선별해냄
6. 도덕성
- 팔란티어는 서방을 지지하는 입장인데, 나도 대체로 동의함
- 중국이나 러시아 중심의 세계는 나쁜 것 같고, 그게 우리 앞에 놓인 선택지임
- 자유 국가에 살면 비판하기 쉽지만, 그 반대를 경험해보면 어려움 (억압적인 국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냄)
- 군대가 하는 일에 동의하지 않을 때도 있었지만 회사가 군을 돕는 것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음
- 물론 군대도 나쁜 짓을 하기도 함. 나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했음
- 이게 핵심인데,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100% 도덕적으로 선하지도, 100% 나쁘지도 않음
- 때론 내가 반대하는 목표를 가진 기관을 돕기도 했지만, 정부는 많은 좋은 일도 하고 더 효율적으로 하도록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은 고귀한 일임
- 회사 일을 세 범주로 나눠보면 도덕성 문제를 명확히 할 수 있음 (완벽한 분류는 아니지만):
- 도덕적으로 중립적인 일: FedEx, CVS, 금융사, 기술 기업 등 일반 기업 관련 업무. 문제 삼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체로 괜찮다고 느낌
- 명백히 선한 일: CDC와의 팬데믹 대응, NCMEC와의 아동 포르노 대응 등 대부분 사람들이 좋은 일이라 동의함
- 회색 지대: 도덕적으로 어렵고 까다로운 결정이 필요한 영역. 건강보험, 이민 단속, 석유회사, 군대, 정보기관, 경찰/범죄 등
- 모든 엔지니어는 선택의 기로에 섬. 구글 검색이나 페이스북 뉴스피드 같이 약간 좋아 보이는 1번 범주나, GiveDirectly 같은 2번 범주를 고를 수 있음
- 팔란티어에 대한 주된 비판은 "3번 범주에선 일하면 안 된다. 때론 도덕적으로 나쁜 결정을 내려야 하니까"였음. 트럼프 시대 이민 단속이 한 예시임
- 그러나 3번을 완전히 무시하고 관여를 끊는 것도 책임 방기라고 봄. 3번 범주 기관은 존재해야 함
- 미국은 총을 든 사람들에 의해 지켜짐. 경찰은 범죄와 싸워야 하고, 일부 경찰 활동이 불편해도 집이 털리면 경찰에 신고함. 석유회사는 에너지를 공급해야 함. 건강보험사는 어려운 결정을 계속 내려야 함
- 그런 것들에 불쾌한 면이 있긴 하지만, 그 기관들을 내버려둬야 할까?
- 3번 고객과 일해야 하는지 명확한 답은 없고 사례별로 접근해야 한다고 봄
- 팔란티어의 입장은 "명백히 나쁘지 않은 한 대부분 3번 기관과 일하되, 민주적 절차를 믿고 시간이 지나면 좋은 방향으로 갈 것"이었음
- ICE 문제에선 트럼프 시대에 ERO(단속·추방 업무)와는 관계를 끊고 HSI(국토안보수사국)와는 계속 일함
- 대부분 3번 기관과 일했는데, 나쁜 일도 하지만 대체로 세상에 이롭다는 논리였음
- 자세한 내용은 말할 순 없지만 팔란티어 소프트웨어 덕에 여러 테러 공격이 저지되었고, 이 사실만으로 이런 입장이 정당화된다고 봄
- 항상 100% 선한 일만 한다는 보장이 없어 많은 이에게 불편한 입장임. 어떻게 보면 역사의 흐름에 身을 맡기는 셈이고 (a) 악보다 선이 더 많이 행해지고 (b) 현장에 있는 게 없는 것보다 낫다는 걸 믿어야 함
- 이 정도면 나한테 충분했음. 다른 이들은 다른 선택을 했음
- 물론 이런 입장의 위험은 기존 권력 구조가 하자는 대로 하는 보편적 변명이 될 수 있다는 것. 그냥 기존 체제를 강화하는 꼴임
- 그래서 사례별로 접근해야 함. 일반론은 없고 구체적으로 봐야 함
- 나 역시 의료, 바이오 분야에 시간을 많이 투자했고 기여한 바에 대해 만족함. 테러를 막은 사람들도, 팬데믹 때 의약품을 유통한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거임
- 이런 '까다로운' 영역에서 일하는 게 이젠 유행이 되었지만, 기술자에겐 여전히 중요한 질문임
- AI가 좋은 예시임. AI 도입의 일부 결과가 걱정되는 사람이 많음. 해킹에 쓰일 수도, 딥페이크가 세상을 나쁘게 만들 수도, 일자리를 없앨 수도 있음. 그러나 AI에는 큰 장점도 있음 (다리오 아모데이가 최근 에세이에서 잘 설명함)
- 팔란티어처럼 AI에 대해 일하는 것도 100% 선하진 않겠지만 100% 악하지도 않음. 관여를 멈추고 중단을 요구하는 건 비현실적이고 최선은 아닐 듯
- 오픈AI나 앤트로픽에서 일하진 않더라도 AI 관련 이슈에 관여할 만한 사람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참여하길 바람
- 쉬운 경우도 있음: 평가 구축, 정렬 연구, 사회적 회복탄력성 제고 등. 하지만 회색 지대에 참여할 가치도 있다고 봄. 정부 AI 정책에 관여하고, 의료 같은 분야에 AI를 도입하는 일 등. 물론 어려울 것임. 그래도 뛰어들자
- 요즘 AI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현장에 있음. AI 연구소든 정부든 영향력 있는 싱크탱크든. 그들 중 하나가 되고 싶음. 설교하는 사람이 되긴 싫음
- 어려운 결정이 뒤따르겠지만, 일이 일어날 때 그 자리에 있는 게 낫다고 봄. 나중에 그만두고 경종을 울려야 한다 해도 말임
7. 앞으로의 전망
- 팔란티어에 대해 계속 긍정적인가? 그렇다.
- 이번 AI 사이클의 큰 생산성 향상은 AI가 제조, 국방, 물류, 의료 등 대기업들에게 레버리지를 제공할 때 일어날 것임
- 팔란티어는 10년간 이런 기업들과 함께 일해왔음
- AI 에이전트가 결국 핵심 업무 절차를 주도하게 될 것이고, 이들은 중요 비즈니스 데이터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에 의존할 것임
- 10년간 기업 데이터를 통합해온 것이 기업에 AI를 도입하기 위한 핵심 기반임. 엄청난 기회가 있음
- 나 역시 오래 기다려온 마스터플랜을 실행에 옮겨 다음엔 창업할 계획임
- 정부 관련 사업도 포함될 것임. 팀도 훌륭하고 채용 중임. 가끔 비트겐슈타인 얘기도 나눔
GN⁺의 정리
- 팔란티어는 초기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나, 현재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전략적 전환과 제품 발전 덕분임.
- 데이터 통합과 보안 기능은 회사의 핵심 역량으로, AI의 발전과 함께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
- 회사의 독특한 문화와 인재 모집 전략은 팔란티어의 성공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기업들이 벤치마킹할 만한 가치가 있음.
- 도덕적 딜레마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이는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 중요한 고려 사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