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년만에 모습을 드러낸 검독수리 번식둥지...지름만 2m ‘위용’ 눈길

3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7년 만에 제주도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확인되었다.

국립생태원은 한라산 북쪽의 절벽에서 검독수리 암수 한 쌍과 새끼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들은 최소 6년 이상의 성숙한 개체로 추정된다.

이번 발견을 계기로 생태원은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검독수리의 서식지 보전을 강화하고 생태 보호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라산 절벽에 가족 서식…새끼까지 촬영 성공
멸종위기 1급 검독수리, 번식 둥지 첫 실체 확인
美장교 이후 77년 만의 기록…학술적 높은 가치
생태원 “지속 번식 가능성…보호 박차 가할 것”

검독수리 수컷 성조. [국립생태원]

검독수리 수컷 성조. [국립생태원]

그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 실체가 제주도에서 77년 만에 확인됐다.

17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최근 제주도 한라산 북쪽 방향의 한 절벽에서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독수리는 날개 편 길이가 2m가 넘는 대형 맹금류다. 국내에서는 전국의 산야 및 습지 주변에서 겨울철에 소수의 개체가 주로 관찰됐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지난해 7월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 직원이 한라산 북쪽 인근에서 어린 검독수리 한 마리를 구조했던 사건과 주민 목격담을 토대로 검독수리 조사를 준비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로부터 조사허가를 받고 지난 4월부터 검독수리 서식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한라산 북쪽 지대 약 90m 절벽의 3분의 1 지점에서 지름 약 2m, 높이 약 1.5m로 추정되는 검독수리 둥지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지난 5월 이곳 둥지에 검독수리 암수 한 쌍과 새끼 한 마리가 서식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들 암수 개체가 모두 최소 6년생 이상의 어른새인 것으로 추정했다. 7월 조사에선 이들 검독수리 가족이 둥지를 떠난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앞으로도 같은 장소에서 검독수리가 번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검독수리는 번식지를 쉽게 옮기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검독수리 번식 둥지와 가족이 함께 발견된 것은 미군 장교의 논문 기록 이후 77년 만에 처음이다. 1940년대 후반 한국에서 복무한 미군 육군 장교 로이드 레이몬드 울프는 1948년 경기도 예봉산 정상 인근의 절벽에서 검독수리 어른새와 번식 둥지를 발견했다. 이 무렵 경기도 천마산에서도 새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둥지를 포착했다. 그는 한국의 검독수리 둥지 관찰 기록 논문을 1950년 미국의 저명한 조류 학술지인 ‘디 오크’에 게재했다.

생태원은 이번 검독수리 번식 둥지 발견을 계기로 유관 기관들과 협업해 서식지 보전을 강화할 방침이다. 번식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번식한 개체의 기원 연구도 추진한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 발견은 역사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다”며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보전과 중장기적인 보호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