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건설기술인 10명 중 1명꼴…평균 연령 51.2세

1 week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이 2004년 38.1세에서 2023년 51.2세로 상승했으며, 이는 국내 전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 증가 속도보다 빠르다.

2030세대의 건설 분야 진출이 감소해 현재는 10명 중 2명만이 해당 연령대에 속하며, 이러한 고령화는 건설산업의 변화를 어렵게 하고 청년세대 유입을 막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건설산업이 청년세대의 요구에 맞게 변화하려면 디지털화와 함께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문화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청년 인재 유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이 급속도로 고령화하면서 평균 51세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표한 ‘건설산업의 청년 인재 확보 전략’에 따르면 지난 2004년 평균 38.1세였던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은 올해 6월 기준 51.2세로 20년새 13년이 늘었다.

국내 전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도 2010년 39.0세에서 지난해 43.8세로 4.8세 증가했지만, 건설인력의 고령화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셈이다.

실제 2010∼2023년 건설업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6.2세 늘어나며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9.6세 증가), 사업시설관리·임대서비스업(6.4세 증가)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2030세대 연령 비중이 크게 줄었다.

2004년 전체 건설기술인 중 20∼30대 비중은 64.0%였지만, 현재는 15.7% 수준이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중장년층으로, 건설산업 주력 세대는 50∼60대 장년층으로 이동했다는 의미다.

이같은 고령화 현상은 기존 관행이나 산업문화 변화를 어렵게 하지만, 청년세대 유입 여건을 악화시켜 청년 부족을 더 심화하는 악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게 건산연의 지적이다.

청년 부족 현상이 심화하는 원인으로는 국가 인구구조 변화 외 건설산업에 대한 고정 관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청년세대는 개인의 취향이나 의사를 중시하고 수평적 의사소통에 익숙하며 비대면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특성이 있는데, 건설업무 문화는 개인보다 조직을 중시하고 팀워크를 강조하며 수직적 의사소통에 익숙한 경향이 있어 청년세대 유입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기술 기반의 업무 처리와 변화 적응 기술을 중시하는 청년세대와 달리 건설업무방식은 실무경험과 숙련을 중시하고 아날로그 방식의 업무 처리가 주를 이루는 측면이 있다.

건산연은 “건설산업이 수평적 관계와 창의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해야 한다”며 “기존의 수직적 구조와 권위적 문화가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문화로 변화한다면 청년 인재 유입이 촉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