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
한은이 27일 펴낸 ‘2025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 38만6000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조원으로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는 원리금상환 부담이 크고(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자산대비부채비율, DTA〉100%) 가구를 의미한다.
지난해 고위험가구 수 및 금융부채 비중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크게 높아졌던 2023년(각각 3.5%, 6.2%)에 비해 하락(각각 -0.3%포인트 및 -1.3%포인트)했지만, 2022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구수 기준으로도 장기 평균(3.1%)를 상회했다.소득 또는 자산 중 한가지 지표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부족한 가구 비중은 318만 가구로 전체의 26.5%를 차지했다. 이들은 전체 금융부채의 34.8%인 512조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위험가구의 DSR(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은 중위값 기준 75.0%며, DTA(총부채/총자산)는 중위값 기준 150.2%로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지방 고위험가구의 중위값 기준 DSR 및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 고위험가구(78.3%, 151.8%)와 차이는 크지 않았다.다만 지방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18.5%)이 수도권(5.1%) 보다 높아 소득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됐다.이런 가운데 한은은 주택가격의 하락이 고위험가구 증가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금리 및 주택가격 변동분과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지방과 수도권의 금융부채 기준 고위험가구 비중을 시산한 결과, 지난해 말 지방 및 수도권은 각각 5.4% 및 4.3%로 나타났다.하지만 올해 말에는 지방(5.6%)과 수도권(4.0%)의 고위험가구 비중 차이가 1.6%포인트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보다 부진한 가운데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것으로 우려됐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됐다. 이에 따라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 대응방안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