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이번 주(3~7일)에는 10월 소비자물가 동향과 경기동향 지표가 잇따라 나온다. 지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CE) 정상회담 기간 한미간 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통상 불확실성이 해소된 가운데, 향후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는 상승할지 관심이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10월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영접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2일 관가에 따르면 국가데이터처는 오는 4일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외식 등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생활물가 부담이 여전히 높게 나타날지 주목된다.
지난 9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전달(8.0%)보다 물가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KDI 경제동향 11월호‘를 내놓는다. 최근 내수 경기 회복, 반도체 시장 호조, 설비·건설투자 반등,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인한 수출 불확실성 해소 등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KDI가 어떤 경기 판단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앞서 KDI는 지난달 경제동향 10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위축으로 낮은 생산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소비 부진은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또 대외 요인에 대해서는 “대미 자동차수출에 대한 고율 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재점화되는 등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국가데이터처는 5일에는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해 8월 기준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비임금근로자는 665만 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7000명 감소했다.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23.1%로 0.3%포인트 하락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43만 9000명으로 2만 6000명 늘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30만 6000명으로 6만 4000명 줄었다.
국가데이터처 6일엔 ‘2024년 다문화인구동태’를 발표한다. 2023년 다문화 혼인은 2만431건으로 전년대비 17.2%(3003건) 늘었다. 다문화 혼인 비중은 2021년 7.2%에서 2022년 9.1%, 2023년 10.6%로 상승하는 추세다.
다음은 기재부, 국가데이터처,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4일(화)
07:40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08:20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10:00 공공기관운영위원회
14:00 국무회의
△5일(수)
△6일(목)
08:30 지식교류의날
10:00 예결위 전체회의
△7일(금)
10:00 예결위 전체회의
◇주간 보도 계획
△3일(월)
09:30 제18회 아시아 고위공무원 초청연수
12:00 9월 온라인쇼핑동향
15:00 국가데이터처, 베트남 통계청과 통계협력 양자회의 개최
△4일(화)
08:00 10월 소비자물가동향
08:00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개최
08:00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개최
11:30 제10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
12:00 KDI 현안분석 ‘해외투자 증가의 거시경제적 배경과 함의’
15:00 2025 범죄분류 전문가 국제회의 개최
△5일(수)
12:00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
12:00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6일(목)
09:00 글로벌지식협력단지, 제 2회 ‘지식교류의 날’ 개최
11:00 AI 기반 공공재정 관리·국제포럼 개최
12:00 2024년 다문화인구동태
12:00 KDI 현안분석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
△7일(금)
11:00 제24차 공공기관 투자집행점검회의
15:00 공급망안정화기금 전문가 간담회 개최
16:00 국민 제안이 정책이 된다, 국민 참여 AI 정책 토론회 개최
△9일(일)
KDI 경제동향(2025.11)

7 hours ago
4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