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한국의 사드 배치 이후 8년 넘게 이어온 중국의 ‘한한령(한류 제한령)’이 해제되며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개선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여당 국회의원은 최근 한중정상회담 결과엔 공식적으로 포함되지 않았지만, 시진핑 국가 주석이 ‘(한국 측의) 한국 가수들의 베이징 공연’ 제안에 호응했다는 일화를 밝혔다.
최근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소셜미디어(SNS)에 한중정상회담 만찬에 참석한 사진을 올렸다.
김 의원은 “역사적 한·중 정상회담 만찬을 성과리에 마무리하였다. 경제교류와 협력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오늘 만찬장에서 나온 깜짝소식 하나”라며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주석,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원장이 잠시 얘기를 나누다가 시 주석이 북경에서 대규모 공연을 하자는 (한국 측) 제안에 호응해 왕이 외교부장을 불러 지시했다”고 적었다.
이어 김 의원은 “한한령 해제를 넘어 본격적인 ‘K-문화’ 진출의 문이 열리는 순간이 아닐까”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최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문화 교류 협력을 많이 하자, 콘텐츠 (협력에) 노력하자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국내 법적인 규정 등도 고려해야 해서 완벽하게 얘기가 되지는 않았으나 진전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실무적 소통을 통해 조율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중국은 사드 사태 이후 비공식적으로 일종의 보복 조치로 한국 음악·드라마·영화 수입과 유통, 공연 등을 제한해 왔다. 지난 2017년부터는 사실상 한류가 막힌 상태다. 마지막으로 방영된 인기 작품은 2016년 방영된 KBS 드라마 ‘태양의 후예’다.
그러나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유화적인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4월 한국의 힙합 그룹 호미들은 한한령 이후, 처음으로 중국 우한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중국이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는 만큼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가 높아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속보] 軍 정찰위성 5호기 발사 성공…우주궤도 진입 후 지상교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02.22579247.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