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도 반할 만한 선박 기술…한미 조선협력 주도하는 한화필리조선소

3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화필리조선소는 연간 선박 건조량을 5년 내 10배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며, 목표 달성 기간을 10년에서 5년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CEO 데이비드 김은 올해 필리조선소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릴 것이라며, 미 해군 사업의 핵심 공급자로 자리매김할 전략을 강조했다.

필리조선소는 현재 170억달러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방위사업자 라이선스를 올해 중 취득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 필리조선소의 전경. 한화의 상징색인 주황색 바탕에 영문으로 ‘Hanhwa’라고 쓰인 660t급 초대형 골리앗 크레인이 보인다. 2025.7.16. [사진 = 연합뉴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 필리조선소의 전경. 한화의 상징색인 주황색 바탕에 영문으로 ‘Hanhwa’라고 쓰인 660t급 초대형 골리앗 크레인이 보인다. 2025.7.16. [사진 = 연합뉴스]

한미 조선업 협력의 전진기지이자 한미 무역협상의 열쇠로 꼽히는 한화필리조선소가 연간 선박 건조량을 5년 내 10배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10년으로 잡았던 중장기 목표 달성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하며 ‘미국 내 군함 건조’라는 궁극의 목표을 더 빨리 완수하겠다는 포부다.

한화필리조선소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조선소에서 내외신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재 1~1.5척 수준인 연간 선박 건조량을 2030년까지 10척까지 늘리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데이비드 김 한화필리조선소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전체적으로) 필리조선소가 지난 10년간 투입했던 금액보다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은 1억달러(약 1400억원)를 투자해 지난해 말 필리조선소 인수를 완료했다.

데이비드 김 한화 필리조선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6.  [사진 = 연합뉴스]

데이비드 김 한화 필리조선소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6. [사진 = 연합뉴스]

이종무 한화필리조선소 소장은 연간 선박 건조량을 10척으로 확대하는 목표 시점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10년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훨씬 당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만들려고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목표 시점을 크게 단축하려는 배경에는 최근 미국 내에서 급물살을 타고 있는 ‘미국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가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조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필리조선소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미 해군 사업에 핵심 공급자로 부상하겠다는 전략이다.

해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방위사업자 라이선스가 필요한데 이르면 올해 중 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해군 사업에 참여하고자 이미 2~3개의 정보요청서(RFI)도 제출한 상태다.

한화가 인수하면서 새 생명을 얻은 필리조선소는 현재 170억달러(약 2조3800억원)에 달하는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협력회사를 포함해 18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