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조선업 협력의 전진기지이자 한미 무역협상의 열쇠로 꼽히는 한화필리조선소가 연간 선박 건조량을 5년 내 10배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10년으로 잡았던 중장기 목표 달성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하며 ‘미국 내 군함 건조’라는 궁극의 목표을 더 빨리 완수하겠다는 포부다.
한화필리조선소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조선소에서 내외신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재 1~1.5척 수준인 연간 선박 건조량을 2030년까지 10척까지 늘리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데이비드 김 한화필리조선소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전체적으로) 필리조선소가 지난 10년간 투입했던 금액보다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은 1억달러(약 1400억원)를 투자해 지난해 말 필리조선소 인수를 완료했다.
이종무 한화필리조선소 소장은 연간 선박 건조량을 10척으로 확대하는 목표 시점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10년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훨씬 당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만들려고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다.
목표 시점을 크게 단축하려는 배경에는 최근 미국 내에서 급물살을 타고 있는 ‘미국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가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조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필리조선소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미 해군 사업에 핵심 공급자로 부상하겠다는 전략이다.
해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방위사업자 라이선스가 필요한데 이르면 올해 중 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해군 사업에 참여하고자 이미 2~3개의 정보요청서(RFI)도 제출한 상태다.
한화가 인수하면서 새 생명을 얻은 필리조선소는 현재 170억달러(약 2조3800억원)에 달하는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협력회사를 포함해 1800명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