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람이 살지 않는 남극 근처의 섬에도 상호관세를 부과하자 이를 풍자하는 밈이 속출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엑스(X·옛 트위터)의 한 이용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이 백악관의 집무실에서 함께 앉아 펭귄 한 마리를 앉혀놓고 손사래를 치는 사진을 올렸다.
이 네티즌은 "펭귄은 정장을 입었는데,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대한 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아마도 고맙다고 하지 않아서?"라면서 비꼬았다.
미국이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도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을 지난 2월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백악관 방문 때 벌어진 일에 빗대어 조롱한 것이다.
남극 인근의 호주령 외딴섬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한 트럼프의 결정 이후 펭귄을 자처한 네티즌의 풍자가 잇따르고 있다.
허드 맥도널드 제도는 호주 서부 해안도시 퍼스에서 남서쪽으로 3200㎞나 떨어져 있어 배를 타고 2주를 가야 닿을 수 있다. 사람도 살지 않고 주로 펭귄이 서식하는 척박한 곳이다.
'펭귄 어게인스트 트럼프'라는 스레드 계정은 7만명 이상의 팔로우를 보유 중이다. 계정주는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사는 펭귄"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뒤 "왜 우리가 관세를 부과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우린 물고기를 좋아하고 파시스트를 싫어한다"고 트럼프를 저격했다.
이 밖에도 '오늘의 미국 시장'이라는 글과 함께 펭귄이 높은 얼음 절벽 위에서 뛰어내려 고속으로 수직 낙하하는 인공지능(AI) 영상이 올라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주식 시장 붕괴를 꼬집은 것이다.
또 다른 X 이용자는 펭귄이 갈매기들에게 테슬라 자동차에 배설물을 투하하는 모습을 가르치는 듯한 그림을 올려 조롱하기도 했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실세로 등극한 점을 비꼰 게시물이다.
유명한 외교·안보 분야 컨설턴트도 가세했다. 세계적인 정치경제리스크 컨설팅기업 유라시아그룹의 대표이기도 한 미국의 정치학자 이언 브레머는 X에 펭귄들이 가득 들어찬 사진을 올리고서는 "트럼프의 10% 관세에 항의해 주민들이 들고일어나면서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전례가 없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적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