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칼날 피한 ‘이것’…송파 아파트에 27명 ‘우르르’ 몸값도 ‘껑충’

1 day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되면서 경매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 경매에 나온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가 감정가를 6억원 넘게 웃도는 가격에 팔리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토허제로 인한 매매 규제가 경매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토허제 재지정으로 인해 투자 수요가 경매로 이동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수요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3일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3일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강남 3구·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확대 재지정되면서 경매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경매 낙찰은 토허제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토허제 대상 지역 아파트 경매시장에 투자수요가 몰리는 이유다.

1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전날 서울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 전용 131㎡ 경매에 27명이 응찰했다.

해당 아파트는 수요가 몰리면서 감정가(25억4000만원)보다 6억원 이상 높은 31억7640만원에 낙찰됐다. 같은 면적 아파트의 지난 1월 28억75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거래는 일반 매매 시장보다 경매에서 더 비싼 가격에 팔리면서 이목을 끌기도 했다.

지지옥션은 토허제 재지정으로 투자 수요가 경매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했다. 토허제로 지정되면 매매시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취득일로부터 실거주 2년 의무가 적용돼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갭투자’가 불가능하지만 관련 법률에 따라 경매로 취득한 물건은 토허제 허가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거주가 어려운 외지인이나 투자 수요 등이 경매를 통한 취득이 더 활발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응찰자나 낙찰가 등을 볼 때 토허제 재지정 영향이 분명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토허제 해지 이후 해당 지역의 가격이 얼마나 올라가는지를 목격했기 때문에 앞으로 토허제 아파트에 수요가 더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