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라이릴리가 처음으로 먹는 비만약의 임상 3상 성공을 알렸다. 주사제가 주름잡고 있는 현재의 비만약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라이릴리는 17일(현지시간) 경구용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인 '오르포글리프론'의 임상 3상(ACHIEVE-1) 결과를 공개했다.
오르포글리프론은 기존 비만약과 같은 펩타이드 제형이 아닌 저분자화합물로 이뤄졌다. 음식과 물 섭취를 제한하지 않고 1일 1회 복용하는 비만약이다. 마치 비타민을 챙겨먹듯 복용할 수 있어 기존 주사제형보다 투약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임상에 따르면 약물 투약 40주차에 위약과 비교해 1차 종료점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르포글리프론을 복용한 참가자들은 최고 용량에서 평균 7.9%의 체중을 감량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연구 종료 시점까지도 참가자들이 지속적으로 체중이 감량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추가적인 체중감량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노병 진단 및 관리의 핵심 지표인 당화혈색소는 평균 1.3~1.6% 낮췄다. 당화혈색소는 2~3개월간의 평균적인 혈당 수치를 말한다. 참가자들의 65% 이상이 미국당뇨병협회(ADA)가 정의한 당뇨병 기준치(6.5%) 이하로 당화혈색소를 낮추는데 성공했다.
일라이릴리는 총 5건의 임상을 통해 6000명 이상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임상 결과는 올해말과 내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나올 예정이다. 일라이릴리는 제2형 당뇨병과 비만, 수면무호흡증 등 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 일라이릴리가 먹는 약을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1월 JP모간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한 데이비드 릭스 일라이릴리 회장은 “내년 초 오르포글리프론이 승인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공급 이슈가 없는 미국, 유럽, 일본 시장에 먼저 출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