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 프사’ 열풍…챗GPT 하루 이용자 120만명 넘었다

1 day ago 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진을 챗GPT로 지브리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바꾼 모습. 동아일보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진을 챗GPT로 지브리 애니메이션 그림체로 바꾼 모습. 동아일보DB
오픈AI의 챗GPT 국내 일간 이용자수가 120만 명을 넘어섰다. 새로 출시한 이미지 생성 서비스의 인기 몰이를 때문이다.

1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0일 챗GPT DAU는 103만3733명으로 처음으로 100만 명대를 넘어선 후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바꿨다.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생성’ 서비스가 이용자 증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챗GPT 이용자들이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나 디즈니 등의 그림체를 생성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프로필로 사용하거나 네컷 만화를 만들어 업로드 하는 등 신규 서비스가 연일 화제를 끌고 있다.

오픈AI는 인기몰이에 힘입어 ‘추론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모델을 소비자와 개발자들에게 무료로 공개할 예정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자신의 X 계정에 “GPT-2 이후로 ‘오픈 웨이트’ 모델을 처음 출시하게 됐다”면서 몇 달 내로 추론 모델을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오픈 웨이트는 모델이 질문에 어떻게 응답할지 결정하는 ‘설정값(가중치)’을 공개하는 것으로, 기업들이 비공개로 하는 ‘핵심기술’을 공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 오픈AI는 자사 AI 모델 시리즈 GPT-2까지는 핵심 코드를 공개했지만, GPT-3부터는 이를 공개하지 않는 폐쇄형 모델로 운영해왔다. 다만 오픈웨이트 모델 학습데이터 등의 정보는 공개되지 않을 전망이다.

폐쇄형 전략을 펼쳐온 오픈AI가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한 모델을 공개함으로써 더 저렴한 오픈소스 모델로 이동한 개발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고 궁극적으로는 그들을 현재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 중인 유료 모델로 유도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오픈AI는 소프트뱅크 주도한 400억 달러(약 58조 8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오픈 AI는 이를 통해 기업 가치를 3000억 달러(약 441조 1000억 원)로 평가받으면서 6개월 전 대비 기업가치를 두 배 끌어올렸다.

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