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라는 정원에서 우리 일상이 다시 피어날 시간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4 hours ago 1

국립수목원에 예년보다 늦게 피어나 봄을 알리는 얼레지. 국립수목원 제공

국립수목원에 예년보다 늦게 피어나 봄을 알리는 얼레지. 국립수목원 제공

어제(4일) 서울에 벚꽃이 피었습니다. 기상청은 서울 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의 왕벚나무 한 가지에서 세 송이 이상 꽃이 활짝 피면 ‘공식 개화’를 선언합니다. 2025년 4월 4일, 벚꽃은 시작했고 세상엔 어떤 ‘끝’이 선고됐습니다. 오늘은 식목일. 한 그루 나무를 심듯 일상도 다시 심고 가꿔야 할 시간입니다.

사실 봄은 이미 와 있었습니다. 다만 올해는 봄을 봄이라 부르는 게 주저됐습니다. 3월의 폭설과 산불, 혼란한 정세 속에서 우리 일상은 흔들렸습니다. 노란 복수초와 할미꽃, 개나리와 진달래가 아름다우면서도 애처로웠던 건 마음의 시선이었을까요. 봄꽃과 새잎의 설렘을 누리는 것조차 한없이 조심스러웠던 그런 초봄을 보냈습니다.

4일 서울에 핀 벚꽃.

4일 서울에 핀 벚꽃.

어제 유독 많은 이들이 “이제야 봄이 보인다”고 했습니다. 회사 선배는 불과 하루 만에 벚꽃이 활짝 핀 서울 안양천 뚝방길을 걷다가 사진을 찍어 페이스북에 올렸습니다. ‘돌아온 것은 꽃입니까, 나입니까, 세상입니까’라는 글귀와 함께…. 그 세상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세상’일 겁니다. 갈등의 끝자락에서 이제는 서로 다른 마음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해야 할 때입니다. 최근 경기 화성 소다미술관의 공공예술 프로젝트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보여주세요’ 전시를 알게 됐습니다. 누구든 생각을 남길 수 있는 이 온라인 플랫폼에 남겨진 문장들에서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을 읽습니다.

소다미술관 공공예술 프로젝트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보여주세요’. 소다미술관 제공

소다미술관 공공예술 프로젝트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보여주세요’. 소다미술관 제공

‘계절의 봄만큼 세상의 봄을 기다립니다.’
‘봄은 결국 오고야 만다.’
‘껍데기를 벗고 함께 나가자. 마침내 봄이 왔거든.’
‘지구라는 정원에서 숨을 쉬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해요.’

얼마나 간절하게 봄을 기다려온 마음들인가요. 곰곰이 되씹게 되는 말들이 이어집니다.
‘삶의 유한함과 연약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모든 순간을 더 애틋하게 여기며 살아내자.’
‘당신의 자리에 서 봅니다. 나를 사랑하듯이 당신을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기를.’
저는 ‘일상을 단단하게 지키는 것이 삶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입니다’라고 남겼습니다.

요즘 서울 곳곳에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 김선미기자  kimsunmi@donga.com

요즘 서울 곳곳에 흐드러지게 핀 진달래. 김선미기자 kimsunmi@donga.com

요즘 진달래가 유독 곱게 보입니다. 한 줌 따서 입속에 넣으니 새콤한 봄맛이 납니다. 찹쌀가루 반죽 위에 올려, 기름 두른 팬에 꽃전을 부쳐봅니다. 이처럼 무탈하고 평온한 봄맞이가 얼마나 소중한 일상이던가요. 그래서 오늘은 일상의 회복을 돕는 봄의 ‘시크릿가든’ 네 곳을 소개합니다.◇길동생태공원

연두색 새잎들이 싱그런 봄을 알리는 길동생태공원.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연두색 새잎들이 싱그런 봄을 알리는 길동생태공원.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서울이라는 도시에 이렇게도 고요한 생태숲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합니다. 연두색 새잎과 새소리가 싱그런 봄을 알립니다. 누군가와 나란히 걸어도 좋지만 혼자 호젓하게 걸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흐트러졌던 마음이 조용히 정돈됩니다.

◇화담숲

봄 수선화 축제가 열리고 있는 화담숲. 화담숲 제공

봄 수선화 축제가 열리고 있는 화담숲. 화담숲 제공
자작나무 2000여 그루 사이로 피어난 수선화 10만 송이가 땅에 시(詩)를 씁니다. 답답하고 억울했던 마음의 응어리가 조금씩 풀어집니다. 화담숲의 새 복합문화공간 화담채는 마루에 걸터앉아 바라보는 현대식 차경(借景)이 참 좋습니다. 서로 다른 식물들이 숲을 이루듯, 인간도 다름을 인정하고 어울릴 수 있기를. 화담채 분재 전시에서는 시간의 인내를 배웁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4월 풍경.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4월 풍경.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제공
‘걸어서 수목원 일주’는 숲해설가와 함께 호랑이숲, 능수벚꽃길, 거울연못, 미나리아재비 군락지 등을 세 시간 동안 돌아보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하늘이 허락한다면 밤하늘을 수놓는 별들의 향연도 볼 수 있을 거예요.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에 피어난 현호색. 국립수목원 제공

국립수목원에 피어난 현호색. 국립수목원 제공
올해는 유독 봄이 늦었습니다. 야생화들이 이제야 땅 위로 올라옵니다. 얼레지, 현호색, 할미꽃, 바람꽃, 깽깽이풀…. 작지만 강한 생명들은 몸을 낮추지 않으면 보이지 않습니다. 시선을 땅 가까이에 둘수록 봄은 더 선명하게 다가옵니다. 모진 날씨를 견뎌내고 피어난 봄꽃이 유독 애틋하고 고맙습니다.

국립수목원에 피어난 산자고. 국립수목원 제공

국립수목원에 피어난 산자고. 국립수목원 제공

벚꽃은 피었고 어떤 끝은 지나갔습니다. 이제는 다시 살아갈 시간입니다. 오늘 하루, 일상에 나무를 심는 마음으로 살아보면 어떨까요. 꽃을 보며 설렐 수 있고, 오랜 친구에게 “잘 지내지?” 안부 문자를 보낼 수 있다면 우리는 이미 회복을 시작한 것일 겁니다.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 동아리

  • 전승훈의 아트로드

    전승훈의 아트로드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