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2인자들 방북… 이번엔 ‘평양 열병식’

7 hours ago 2

내일 北노동당 창건 80주년 행사
베이징 ‘톈안먼 反美연대’ 한달만에
北-중-러 최고위급 다시 밀착 과시
美 “한국군, 中억제 기여할수 있어”

메드베데프 부의장

메드베데프 부의장

리창 총리

리창 총리
중국 권력 서열 2위인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행사에 참석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중국, 러시아의 2인자들이 북한에서 열리는 열병식에 나란히 서는 것. 지난달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을 기념해 북-중-러 3국 정상이 톈안먼 망루에 함께 오른 지 한 달여 만이다.

중국 외교부는 7일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초청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자 국무원 총리인 리창이 9일부터 11일까지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행사에 참석하고 북한을 공식 우호 방문한다”고 밝혔다. 2015년 70주년 당 창건 행사 열병식에 중국 권력 서열 5위인 류윈산(劉雲山)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서기처 서기가 파견됐던 것보다 한층 격을 높인 셈이다. 중국 총리의 방북은 2009년 원자바오(溫家寶) 당시 총리의 평양 방문 이후 16년 만이다.

러시아에선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북한을 방문한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2008∼2012년 푸틴 대통령을 대신해 대통령을 지냈으며 2012년 푸틴 대통령이 다시 대통령이 되자 2020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베트남에선 권력 서열 1위인 또럼 공산당 서기장 등도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광장에서 열리는 대규모 열병식 주석단에 이들과 함께 서서 한국과 미국, 일본을 겨냥한 최신 무기를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4일 무기 전시회 ‘국방발전-2025’에 참석해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으로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라고 위협했다.

북-중-러 최고위급이 다시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앞두고 이른바 ‘반미(反美)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은 한국에 대중(對中) 군사적 견제 동참을 요구했다. 존 노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차관보 지명자는 7일(현지 시간)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한국군은 중국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장거리 화력과 통합 미사일 방어, 우주·전자전 능력은 양쪽(북-중) 위협에 맞서 억지력을 강화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뉴욕=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