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대표와 송 비대위원장은 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고(故) 김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식에 나란히 참석했으나 이날도 역시 악수나 눈인사 등 의례적인 인사조차 없었다.
이들은 추모사에서도 상반된 메시지로 서로를 겨눴다. 정 대표는 “1980년 광주가 2024년 12·3 내란을 몰아냈다”며 “국민주권주의는 정치적 수사가 아니다. 이미 우리 국토 곳곳 거리와 식당에서 피어나 있다. 누가 완전한 내란 종식 없이 이 사태를 얼버무릴 수 있겠나”라고 국민의힘을 겨냥했다.
그러면서 “자신들의 뜻과 다른 결과를 수없이 봐온 국민이다. 내란 사태가 마무리됐다고 말할 수 있겠나. 당신이 제게 남겨준 기대와 책임감을 절대 내려놓지 않겠다”며 “오늘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 세력 척결과 같은 말이라고 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추모사 뒤에도 송 비대위원장과 인사 없이 자리에 앉았다.이어 연단에 오른 송 비대위원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 했던 ‘정치보복은 없다’는 약속을 대통령 재임 중에도 지켰다”며 “이러한 리더십이야말로 오늘날 정치권이 반드시 되새겨야 할 가장 귀중한 유산”이라고 맞대응했다.
그는 “특히나 집권당이 야당을 대화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 유사 이래 처음으로 야당 당사를 침입해 500만 당원 명부를 탈취하는, 개인정보 탈취를 하는 현실 앞에 김 전 대통령의 포용과 관용의 정치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고 꼬집었다.
지금까지 정 대표는 국민의힘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며 “악수도 사람하고 하는 것”이라는 말로 국민의힘과의 대화 불가 입장을 강조해 왔다.앞서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도 정 대표와 송 비대위원장은 나란히 옆자리에 앉았으나 서로 눈길조차 마주치지 않으며 대립했다.송 비대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원외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협의회 출범식에서 “광복절 경축식에서 정 대표가 옆에 앉았는데 쳐다보지도 않더라”라며 “정 대표가 ‘악수는 사람하고 하는 법’이라는 이상한 말을 했는데 저도 똑같다”고 불만을 표했다.
그러면서 “정상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가 정 대표하고 마음 편하게 악수할 사람이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
송치훈 기자 sch53@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