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초기에는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꽃이 튄 것이 직접적 계기로 지목됐지만, 배터리 노후화·작업자 과실·안전 매뉴얼 미준수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거론되면서 정확한 발화 경위를 두고 의문이 이어지고 있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께 5층 7-1 전산실에서 UPS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당시 작업 인원은 13명이었으며 배터리 이동 과정에서 전원이 끊어진 지 약 40분 뒤 불꽃이 발생했다는 게 국정자원 측 설명이다. 정부는 이 작업에 대해 "배터리를 교체한 것이 아니라 (서버 등) 시스템과 이격을 위해 지하로 이동 작업 중이었다"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배터리 1개에서 발화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전원이 꺼진 배터리에서 불이 날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배터리 전원이 화재 신고 후 2시간42분이 지나서야 차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신고 접수는 오후 8시 20분에 됐고, 실제 차단은 오후 11시 2분에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소방청은 "전원이 차단돼 화재가 발생했는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식과 경찰 수사를 통해 확인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배터리 노후화도 핵심 변수다. 불이 난 배터리는 2014년 생산돼 이미 권장 사용 연한(10년)을 넘겼으며, 지난해 교체 권고가 있었지만 실제 교체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2017년 생산된 배터리도 함께 있어 조기 교체를 피하려다가 1~2년 더 쓰기로 판단했다"며 "주의 깊게 살펴보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작업자가 실수했을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는다. UPS는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특성상 전원을 완전히 끄지 않은 상태에서 선을 분리하면 순간 전압이 치솟아 화재 위험이 커진다.
일각에서 '비전문 업체·아르바이트생 투입' 의혹까지 제기됐지만,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