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경제성 떨어진다” 이유… 직접 건립서 일부 지원으로 변경
서구 검단 주민 1인 시위 등 반발… 새 방침에 건립 나서는 자치구 ‘0’
사업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 커져
인천 서북부 지역인 서구와 계양구 등이 건립을 맡고 인천시가 예산의 절반을 지원한다는 방침인데, 유치를 염원했던 이들 지자체 주민은 불만이 커지고 있다.
서구 검단 신도시 주민들은 인천시가 실시한 북부문화예술회관 타당성 용역 조사 결과에 중대한 오류가 있다며 행정안전부에 감사를 요청했다. 검단 주민들은 내년 새로운 구가 출범하는데 인천시가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예산조차 제대로 확보하지 않았다며 인천시청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22일 인천시와 이들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해 8월 1000석 규모의 북부문화예술회관 유치를 둘러싼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인천시는 직접 건립하거나 운영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는 ‘인천 북부지역 문화예술회관 건립 기본 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를 발표했는데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이에 따라 시는 북부문화예술회관을 직접 건립해 운영하지 않고 이들 구가 300∼700석 규모 구립 문예회관 건립을 추진하면 건축비의 최대 50%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가 문예회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지역은 계양구와 2026년 7월 신설될 검단구, 영종구 등 3곳이다.
하지만 시의 이런 방침에 따라 자체적으로 문예회관 건립을 추진하거나 기본 계획 등을 수립 중인 기초자치단체는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차체 입장에선 수백억 원에 이르는 건립 비용이 부담일 수밖에 없다. 1000석 규모의 문예회관은 총사업비가 1100억 원 이상이 소요되는데, 시가 50%를 지원하더라도 나머지는 구가 부담해야 해 재정 부담이 크다. 계양구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15% 수준이어서 큰 부담이 된다. 계양구는 구청장이 삭발을 감행하고 주민 16만 명의 서명부를 제출하는 등 치열한 유치전을 벌였지만, 현재는 관련 사업이 잠정 중단된 상태다.내년 7월 행정 개편을 앞둔 서구와 중구 역시 시가 주도하던 북부 문예회관 건립이 각 구로 넘어오면서 사업 추진 동력을 잃었다.특히 서구와 중구의 경우 문예회관 대상지가 새로 출범하는 검단구와 영종구에 있어 당장 사업을 추진할 만한 당위성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구의 경우 검단 신도시 중심의 검단구와 기존 서구로 나뉘고, 중구는 영종하늘도시 중심의 영종구와 중·동구 지역의 제물포구로 각각 재편된다.
서구는 분구 관련 행정 절차가 시급한 상황에서 대규모 재정이 투입되는 문화예술회관 사업을 고려할 단계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계양구와 서구는 향후 인구 유입이 많이 늘어날 요인이 큰 만큼 1000석 규모의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포기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인다.
계양구는 3기 신도시인 ‘계양 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족한 문화시설을 보완하기 위한 문화예술회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구는 인천에서 인구가 가장 많지만, 문화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문화예술회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재 서구의 인구는 약 63만 명이며 검단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유입이 지속해서 늘고 있다.현재 인천에서 시가 건립한 광역 문예회관으로는 인천문화예술회관(남동구), 아트센터 인천(연수구), 트라이볼(연수구), 수봉문화회관(미추홀구)이 있다.
이 가운데 1000석 이상의 광역 문예회관인 인천문화예술회관(1332석)과, 아트센터 인천(1727석)은 모두 인천 남부 지역에 있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