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국힘 모두 ‘청와대 복귀론’ 우세…세종시도 거론
용산 이전비용 517억 추산…2년 11개월만에 문 닫을 판
“청와대를 국민 품으로, 대통령은 국민 속으로.”
2022년 3월 당선인 신분이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며 이 같은 슬로건을 내걸었다. 당시 대통령실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는 데 약 500억 원이 들 것으로 봤다. 야권에선 영빈관 신축과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 등을 모두 합치면 이전 비용이 1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같은 논란 속에 문을 열었던 용산 대통령실은 윤 전 대통령 임기 종료와 함께 2년 11개월 만에 다시 문 닫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의 대선 주자들도 잇따라 대통령실 재이전 의사를 밝히면서다.● 민주당 “군사 쿠데타, 주술 의혹…용산 불가”
민주당은 차기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윤 전 대통령의 상징과도 같은 공간인 데다 보안 상 허점도 많고, 각종 ‘주술 논란’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유에서다.
민주당 내에선 대통령 집무실로서의 역사적 상징성을 갖고 있는 청와대로 회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김병주 최고위원운 전날 “용산은 부적절하다고 본다”며 “개인적으로 청와대 지역에 새로운 건물을 지어서 들어가면 좋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다”고 했다. 다른 친명(친이재명)계 재선 의원도 “청와대가 개방돼 보안이 취약해졌다는 지적도 있지만 전체 건물을 대중에 공개했던 건 아니다. 리모델링을 거치면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고 했다.
다만 민주당 내에서도 현실적으로 임기 초에는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쓸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누가 당선되든) 대통령 집무실은 어쩔 수 없이 용산에 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한 민주당 의원도 “청와대에 보안 시설을 다시 갖추는 데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이고, 제3의 후보지를 찾더라도 마찬가지다. 당분간은 용산 집무실을 쓸 수밖에 없다”고 했다.
● 국민의힘 내에서도 “청와대로 돌아가야” 목소리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 사이에서도 ‘용산 불가론’이 우세하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8일 시장 퇴임식을 앞두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 돼버렸다”며 “당연히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건 국격의 문제”라고 강조했다.안철수 의원도 이날 서울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며 “일단은 용산에서 시작을 하되 청와대를 개조를 해서, 지금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서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또 경호를 잘 하게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는 국민들에게 일부는 개방하고, 미국 백악관 모델을 차용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홍 시장과 안 의원 모두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를 강조하는 차원에서 용산 대통령실 청산을 주장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한동훈 전 대표도 용산 대통령실을 계속 활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으로 전해졌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급작스럽게 용산으로 옮기는 바람에 후유증이 컸었다”며 “집무실을 어디로 이전할지는 숙고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반면 오 시장은 비용 문제를 들어 용산 집무실 이전에 부정적이다. 오 시장 측 관계자는 “국민들은 또 다시 세금을 낭비하는 것을 싫어할 것”이라며 “대통령실에다 더 비용을 들여선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대선 출마를 위해 고용노동부 장관직에서 사퇴한 김문수 전 장관과 유승민 전 의원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더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