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 현대 92억원 신고가…토허제 재시행 직전 폭발적 매수세

1 day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시행 발표 이후 강남구에서 10건 중 4건이 신고가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9일부터 23일까지 강남 3구와 용산구의 매매 거래 116건 중 40건이 신고가로 체결되었으며, 특히 강남구에서 가장 많은 74건이 이루어졌다.

신한투자증권은 거래량 급증과 신고가 경신의 이유를 시장 기대 심리와 규제에 대한 불안 심리의 작용으로 설명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토허제로 묶인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토허제로 묶인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시행을 발표한 직후 닷새 동안 막판 매매 수요가 몰리면서 강남구에선 10건 중 4건이 신고가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는 토허제 확대 시행이 발표된 지난달 19일부터 시행 전날인 지난달 23일까지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시스템에 등록된 강남 3구와 용산구의 매매 거래(실거래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해당 기간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체결된 거래는 모두 116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40건(34.5%)이 신고가에 계약됐다.

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74건으로 거래가 가장 많았으며 이 중 31건(42%)이 신고가 거래였다.

이어 송파구(12건 중 1건), 서초구(6건 중 1건), 용산구(24건 중 7건) 순으로 신고가 거래가 많았다.

정부가 토허제 재지정을 발표한 지난달 19일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183㎡는 92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 압구정동 현대 1차 196㎡는 지난달 20일 역대 최고가인 92억원에 손바뀜됐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단기간에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거래량과 신고가 경신 단지가 급증한 것은 시장의 기대 심리와 규제에 대한 불안 심리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며 “이른바 ‘학습효과’로 강남의 가격 상승에 대한 확신이 깊게 내재된 가운데 이번 토허제 해제 직후 재지정까지의 ‘틈새 구간’이 투자자들에게 다시 오기 어려운 기회로 인식되면서 매수세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토허제 재지정 이후에는 실거주 의무 요건 등으로 갭투자가 어려워진다는 인식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양 수석은 분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