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없이는 생존·재도약 없다”...포스코이앤씨, 중대사고 현장서 전사경영회의 개최

1 week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포스코이앤씨는 중대재해 발생한 사업장을 찾아 네 차례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열며 안전 경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는 ‘안전 최우선 경영’ 원칙에 따라 현장 중심의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확대하여 위험 감지와 데이터 관리를 통합 운영하고 있다.

송치영 사장은 노동자의 안전을 우선시하며 자율적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고 지속 가능한 안전경영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안전 최우선 경영’ 선언 아래
조직 개편·스마트 안전기술·제도 개선

송치영 사장이 지난 23일 중대재해가 발생한 대구 현장을 방문해 네 번째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진행하는 모습 [포스코이앤씨]

송치영 사장이 지난 23일 중대재해가 발생한 대구 현장을 방문해 네 번째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진행하는 모습 [포스코이앤씨]

포스코이앤씨은 올해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을 직접 찾아 네 차례 ‘현장 전사경영회의’를 열고, 안전에서 생존과 재도약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선언한 ‘안전 최우선 경영’ 원칙과 그룹 차원의 안전 혁신 기조에 따른 것이다.

앞서 포스코그룹은 지난 8월 1일 ‘그룹안전특별진단TF’를 신설한 데 이어, 지난 달 안전전문 자회사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을 설립했다.

장인화 회장은 포스코이앤씨 광명~서울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열린 첫 회의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그룹 안전 특별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또 포스코이앤씨의 춘천소양촉진 2구역과 신반포18차, 천호 4구역 재개발 현장을 잇달아 불시 점검하는 등 그룹 안팎으로 안전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도 현장 중심 실행력 강화에 나섰다. 기존 임원 중심 의사결정 회의였던 전사경영회의를 ‘현장 토론형 회의체’로 바꿔, 임원 전원이 사고 현장을 찾아 원인을 확인하고 협력사와 해결책을 논의했다. 네 차례 회의에서 현장별 문제를 진단하고 실행 가능한 대책을 마련했다.

안전보건 조직도 본사 중심에서 ‘현장 중심 체계’로 개편했다. ▲건설안전연구소 ▲안전보건기획그룹 ▲스마트안전기술그룹을 R&D센터와 연계해 ‘재해 원인 분석·제도 개선·AI 기반 안전기술 개발’이 동시에 이뤄지는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도 확대했다. 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한 ‘개구부 덮개 해체 감지’와 ‘지게차 접근 알림’ 시스템을 50여 개 현장에 적용하고, 스마트 안전 플랫폼을 통해 사고 위험 감지부터 데이터 관리까지 통합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노동자와 협력사가 함께하는 ‘안전상생 협의체’를 운영하고, ‘알 권리·말할 권리·피할 권리’를 제도화해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과 제도로 이어지도록 했다. 지난 8월에는 전국 103개 현장을 전면 중단하고 그룹 TF·외부기관과 함께 긴급 안전진단을 실시, 1,070건의 위험요인을 개선하며 현장 안전체계를 근본부터 재정비했다.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은 “회사의 성과보다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이 우선돼야 한다”며 “이번 현장회의는 ‘안전이 곧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조직 전반에 뿌리내린 실천의 과정이었다”고 강조했다.

송 사장은 이어 “앞으로도 현장 제안을 제도 개선과 기술 혁신으로 연결해 자율적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사람과 현장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안전경영 모델’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