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미얀마 구조에 ‘바퀴벌레’ 파견…“좁은 틈도 척척”

3 days ago 5

구조단 라인업…사람 80명, 개 4마리, 바퀴벌레 10마리

싱가포르 HTX가 난양이공대학, 클라스 엔지니어링 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사이보그 바퀴벌레 ⓒ뉴시스

싱가포르 HTX가 난양이공대학, 클라스 엔지니어링 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사이보그 바퀴벌레 ⓒ뉴시스
싱가포르가 지진 피해를 입은 미얀마를 돕기 위해 특별한 ‘작은 영웅’들을 보냈다. 바로 사이보그 바퀴벌레들이다.

싱가포르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지난달 30일 미얀마로 구조단을 급파했다. 구조단은 싱가포르민방부대(SCDF) 80명과 수색견 4마리 그리고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로 구성됐다.

이 바퀴벌레들은 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과학기술청(HTX), 난양기술대, 클래스엔지니어링이 공동 개발한 곤충 하이브리드 로봇으로, 재난 현장에 투입된 건 이번이 세계 최초다.

파견된 바퀴벌레의 종은 마다가스카르휘파람바퀴(Madagascar hissing cockroach)로, 길이는 약 6cm다. 몸체에 적외선 카메라와 센서를 부착했다. 전극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좁은 틈도 거침없이 들어갈 수 있어 수색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바퀴벌레들은 SCDF 구조 임무인 ‘라이언하트 작전’에 합류했다. 첫 임무는 지난달 31일, 무너진 병원. 수색견이 지나간 장소를 더 정밀하게 훑었다. 4월 3일에는 수도 네피도 인근의 또 다른 현장에도 출동했다.

HTX에 따르면 사이보그 벌레 기술은 2026년부터 본격 도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미얀마 대지진이라는 긴급상황으로 조기 투입됐다. 당시 낮 최고기온이 38도에 달하는 더위와 전기·수도가 끊긴 상황이었다.

바퀴벌레들은 당근과 물만으로 생존할 수 있어 장기간 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센서로 수집한 정보는 구조대가 어디에 우선 투입돼야 할지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현지에 투입된 HTX는 “생존자를 더 빨리 찾기 위해 기술을 계속 개선하고 있다”며 “이 기술이 재난 구조에 실질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수연 기자 xunnio41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