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제도권 급류에…카드사 공동대응 속도

23 hours ago 2

협회·전업 카드사, 스테이블코인TF 회의 킥오프
공동 상표권 출원 추진…겸영 등 건의 예정

ⓒ뉴시스
정치권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을 위한 입법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카드업계도 공동 대응에 속도를 낸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는 이날 오전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하나·현대·롯데·우리·BC) 담당 임원들과 첫 스테이블코인TF(태스크포스) 회의를 개최하고,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역할 등을 논의했다.

이 처럼 카드업권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공동으로 대응하게 것은 최근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 법안인 ‘지니어스 법’이 통과되면서 국내에서도 법제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더불어민주당 안도권 의원과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특화 법안을 각각 대표 입법했다. 두 법안은 발행잔액 100% 이상의 준비자산 보유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구체적인 요건과 감독 권한 등을 담고 있다.

카드업계는 카드가 현재 소비자들에게 가장 범용적인 결제 수단인 만큼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도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 우리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등 개별 카드사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하며 시장 선점 의지를 드러내왔다.

TF에서는 나아가 카드업권 공동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CARD KRW’(가칭) 상표권 출원을 추진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전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통용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될 경우, 개별 카드사 차원에서의 대응보다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TF는 또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과정에서 카드사가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한 뒤 금융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현재 카드사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서 명시된 업무만 수행할 수 있다. 여신업법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카드사의 부수업이나 겸영업으로 추가하는 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 스테이블코인이 체크카드와 같은 형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카드사들의 지급결제 전용 계좌 개설을 허용해달라는 건의도 전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오늘 킥오프를 기점으로 실무와 임원 차원에서 논의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며 “법제화가 진행되는 상황에 따라 어떻게 대응할지 세부적인 의견을 나누고 필요한 부분을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