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민·정 대타협이라는 취지 속에 2019년 어렵사리 출발한 ‘광주형 일자리’가 5년 만에 위기를 맞았다. 무노조·무파업·적정 임금을 조건으로 설립된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최근 파업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약속과 달리 GGM에는 이미 지난해 초 노조가 설립됐다. 민주노총 금속노조에도 가입했다.
사실상 세 가지 약속이 모두 깨지면서 애초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일을 문재인 정부와 광주광역시가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함께 고비용·저효율이라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의 해법이 될 것이라는 기대 역시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2021년 공장이 처음 가동되며 현대차의 위탁을 받아 생산한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캐스퍼는 예약 첫날에만 2만 대 가까운 주문이 몰려 기대를 키웠다. 기존 완성차에는 없는 온라인 판매는 신선함을 줬다. 하지만 경차만으로는 자생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었다.
현재 노조는 월 급여 7% 인상, 호봉제 도입, 상여금 300% 등을 요구하고, 회사 측은 물가 상승률 이상의 인상은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설립 당시 조건은 ‘누적 생산 35만 대까지 초임은 3500만원, 임금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누적 생산량은 16만 대에 불과하다. 여측이심(如二心)이라는 사자성어가 딱 들어맞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다는 말이다.
노조가 상생 협정을 헌신짝처럼 팽개친 것은 매년 적지 않은 세금을 지원하는 시민들과 주주 기업들을 배신한 행위와 다를 바 없다. GGM에 출자한 36개 기업으로 구성된 주주단은 파업으로 회사에 손실이 발생하면 법적 대응은 물론 지분 회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최대주주인 광주시 역시 노조에 비판적이다. 노조가 초심을 되찾지 않으면 회사 존립이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