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노총 개입 때 예견됐던 '광주형 일자리' 파국

6 hours ago 2

입력2025.01.15 17:42 수정2025.01.15 17:42 지면A31

노·사·민·정 대타협이라는 취지 속에 2019년 어렵사리 출발한 ‘광주형 일자리’가 5년 만에 위기를 맞았다. 무노조·무파업·적정 임금을 조건으로 설립된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최근 파업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약속과 달리 GGM에는 이미 지난해 초 노조가 설립됐다. 민주노총 금속노조에도 가입했다.

사실상 세 가지 약속이 모두 깨지면서 애초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일을 문재인 정부와 광주광역시가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함께 고비용·저효율이라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의 해법이 될 것이라는 기대 역시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2021년 공장이 처음 가동되며 현대차의 위탁을 받아 생산한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캐스퍼는 예약 첫날에만 2만 대 가까운 주문이 몰려 기대를 키웠다. 기존 완성차에는 없는 온라인 판매는 신선함을 줬다. 하지만 경차만으로는 자생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었다.

현재 노조는 월 급여 7% 인상, 호봉제 도입, 상여금 300% 등을 요구하고, 회사 측은 물가 상승률 이상의 인상은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설립 당시 조건은 ‘누적 생산 35만 대까지 초임은 3500만원, 임금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누적 생산량은 16만 대에 불과하다. 여측이심(如二心)이라는 사자성어가 딱 들어맞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다는 말이다.

노조가 상생 협정을 헌신짝처럼 팽개친 것은 매년 적지 않은 세금을 지원하는 시민들과 주주 기업들을 배신한 행위와 다를 바 없다. GGM에 출자한 36개 기업으로 구성된 주주단은 파업으로 회사에 손실이 발생하면 법적 대응은 물론 지분 회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최대주주인 광주시 역시 노조에 비판적이다. 노조가 초심을 되찾지 않으면 회사 존립이 어려울 것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