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할 경선 규칙을 확정했지만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방식”이라며 일부 주자가 경선을 거부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14일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뽑는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김두관 전 의원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고,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선에 참여하겠다면서도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이 안타깝다”고 반발했다.
민주당은 ‘국민참여경선’이라고 했지만 2002년 도입해 비율을 확대하다 지난 세 번의 대선 경선에서 100% 반영해 온 ‘국민선거인단’과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국민선거인단은 대의원과 권리당원, 일반 국민이 차등 없이 1인 1표를 행사했다. 그런데 이번엔 권리당원에게만 투표권 50%를 배정하고, 나머지 50%는 민주당 지지층과 무당층 여론조사를 반영하도록 했다. 권리당원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고 여론조사도 우세한 이 전 대표가 몰표를 얻을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당 지도부는 대선 일정이 촉박하다는 점과 당원 권리 강화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이 전 대표의 대선 후보 옹립을 위한 ‘무늬만 국민경선’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당 지도부는 대선 후보 선출에 국민 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20년 넘게 견지해 온 국민선거인단을 폐기하면서 다른 주자들의 의견을 묻는 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 2017년 대선 후보 경선 때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전 대표는 국민선거인단 유지를 요구해 관철시켰고 20% 넘는 득표율을 얻어 이후 대선 후보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엔 다른 주자들의 ‘들러리 경선’ 반발에도 밀어붙였으니 민주당이 이재명 일극체제임이 재확인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그간 이 전 대표는 다양한 의견을 품는 포용성, 당 지지층을 넘어선 외연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게 약점으로 거론돼 왔다. 정작 자신은 국민참여경선의 수혜자였으면서 다른 후보들에겐 일말의 가능성조차 주지 않겠다는 건가. 경쟁다운 경쟁 없는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으로 당심(黨心)은 안전하게 확보할지 몰라도 국민의 마음까지 온전히 얻기는 어려울 것이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