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 넘어 稅테크까지 … 연금저축보험이 효자

15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명보험은 저출생·고령화에 맞춰 변하고 있으며, 사망 위험 대비 외에도 절세 효과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의해 연금저축보험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연금저축보험을 통해 연간 최대 600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세테크를 고려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되고 있다.

더불어 이들 상품은 노후 보장과 함께 비과세 혜택을 제공해 금융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은 사망 시에 남겨진 유족들을 위한 보험으로 인식돼왔지만, 저출생·고령화 트렌드에 맞춰 생명보험 상품도 변하고 있다. 원래 보험의 목적인 사망 등 위험 대비는 물론, 살아 생전에는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상품 설계가 변하면서 생명보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사람들도 가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생명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상품 가운데서도 연금저축보험을 활용하면 연간 최대 6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세테크'족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생명보험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다. 가족의 생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망이나 질병, 장기적인 노후 리스크를 보장해주는 구조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비자들은 이러한 보장 기능 외에도 절세 효과까지 고려해 보험에 가입하는 추세다. 특히 연금저축보험은 국민연금, 퇴직연금과 함께 '노후 3층 보장'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도 세금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통상 은행에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을 가입하고 만기가 되면 원금에 대해 이자를 내게 된다. 이때 14%, 지방세 포함 시 15.4%의 이자소득세를 금융소비자는 납부하게 된다. 그러나 생명보험의 일종인 연금저축보험이나 저축 보험 등 저축 기능을 가진 '저축성보험'을 활용하면 금융소비자는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금저축보험은 소득 수준에 따라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간 납입 보험료 기준으로 최대 600만원까지 공제되며, 연소득 5500만원(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16.5%, 초과하는 경우에는 13.2%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여기에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병행하면 공제 한도를 900만원까지 늘릴 수 있다. 예컨대 연금저축보험으로 600만원을 공제받은 후 IRP에 300만원을 추가 납입하면, 두 제도를 통해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공제가 가능한 것이다. 세제 혜택은 저축성보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세법상 만기보험금 또는 중도 해지로 인한 환급금에서 납입보험료를 뺀 금액을 이자소득으로 분류된다. 이때 일시납 저축성보험은 10년 이상 유지하고 납입금액이 1억원 이하일 경우, 월적립식은 5년 이상 납입 및 10년 이상 유지하면서 월납 보험료가 150만원 이하일 경우 이자소득세가 면제된다.

[이소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