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 “즉문즉설은 대화...인생에 정답은 없지요”

4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법륜스님은 AI 상담 개발 제안을 거절한 이유로 인생의 변수를 강조하며 정답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사회의 대립을 우려하며 이해와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히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젊은 세대의 정신적 어려움 해결을 위해 어머니에게 긴 휴가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한반도 평화 문제에 대한 자신의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법륜스님 부처님오신날 인터뷰
자기주장만 있는 우리사회...다른 생각도 인정해야
이해없는 사랑은 폭력이나 다름없어
대립 깨려면 내편에서도 비판할수 있어야
대통령은 반대편도 품어야 진짜 리더
트럼프 시대 혼란? 평화체제 재편 기회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수년 전에 상담 데이터를 가지고 인공지능(AI)을 개발하자는 제안을 받았지만 거절했습니다. 인생의 변수는 수만가지인데, 마치 답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게 위험하다고 생각했죠. 인생에 정답이라는 게 없잖아요.”

오는 5일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즉문즉설’로 유명한 법륜스님(72)을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에서 만났다. 2011년 유튜브에서 개설한 ‘즉문즉설’은 많은 아류작을 탄생시키며 대중들의 대표 심리상담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스님은 “95%는 맞아도 5%가 틀리면 안 되는 것”이라며 “결국 다른 사람이 ‘AI스님’을 마음대로 만들더라. 유명인들의 목소리, 얼굴, 공개된 콘텐츠가 복제 위험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즉문즉설의 본질은 ‘대화’에 있다.

“상담의 근원은 괴로움이죠. 그런데 즉문즉답이 아니라 즉설이잖아요. 한 주제를 가지고 대화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화 중에 ‘아 그렇구나’ 자기가 스스로 답을 찾는 거지요. 특히 관중이 있어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는 게 큰 장점이죠.”

2500여년 전 석가모니 부처가 깨달은 것은 무엇일까.

“구도의 출발은 사람이 어떻게 하면 괴롭지 않게 살 수 있느냐였어요. 결론은 괴로움이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고 나의 어리석음, 무지가 결국 원인이 된다는 것이죠. 낯선 사람을 만나거나 낯선 곳을 가거나, 낯선 일을 할 때 두려운 마음이 들죠. 문제는 사람, 장소, 일이 아니고 내가 모르는 데서 오는 것입니다. 무지가 사라지면 괴로움도 사라지죠.”

스님은 이를 “꿈속에서 강도를 만나 도망가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눈을 뜨면 강도는 본래 없었다”는 것이다.

한국 사회가 극단적인 대립으로 치닫는 데 대해 스님은 “내 편, 네편을 가르는 분위기에서 같은 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사라졌다”고 안타까워했다. “개헌을 얘기하니까 일각에선 왜 지금 개헌을 얘기하냐며 ‘스님은 어느 편이냐’고 서운해하더군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아무리 나쁜 사람도 좋은 구석이 있고, 훌륭한 사람도 나쁜 점이 있는 것이죠. 100% 맞고 틀린 것은 없어요. 비율의 문제입니다.”

스님은 “1987년엔 대통령을 체육관에서 뽑으니까 직접 뽑자는데 관심이 있었지, 권한에 대해서는 아무 신경을 안 썼다”며 “리더를 뽑을 때는 민주주의가 맞는데, 뽑으면 제왕적으로 한다. 대통령도 그렇고, 시장, 도지사도 그렇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실에서 너무 다 결정한다. 장관이 허수아비”라며 “외교·안보·국방·통일은 대통령이 직접 관여하고 경제와 교육 등 총리와 담당 장관에게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틈이 벌어진 만큼 그 어느 때보다 통합의 리더가 절실하다.

“내 지지세력으로 대통령이 되지만 반대한 사람까지 끌어안는 대통령이 돼야 하지요. 반대의견을 가진 사람도 국민입니다.”

스님은 “상대방이 옳다는 게 아니라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이해”라며 “이해가 사랑이다. 이해 없는 사랑은 폭력”이라고 말했다.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우리 사회는 이해가 없고 자기주장만 있어요. 사랑한다는 것은 욕망이죠. 부작용이 생깁니다. 하지만 이해는 부작용이 없어요. 이해하는 것은 나의 문제고 이해하는만큼 나에게 좋아요. 다만 이해받으려고 하면 괴로워지죠.”

2030 젊은 세대들이 불교를 ‘힙하게’ 여기며 열광하는 것에 대해선 “문화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깊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템플스테이에 가는 건 의무감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다른 종교는 징벌하고 재단하려 하지만 불교는 ‘괜찮다’며 포용한다. 60년대 서구 히피들이 불교로 넘어온 이유와 같다”고 해석했다.

“젊은이들 20%가 우울증이든 분열증이든 정신질환을 갖고 있다고 해요. 가정불화로 어릴 때 마음의 상처를 입는 게 주원인이죠. 아이의 심리적 불안을 근원적으로 해소하려면 엄마에게 3년 유급휴가를 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님은 북한 인권과 한반도 평화 문제에 수십년간 공을 들였다. 이 공로로 2002년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을 받았고 2004년 평화재단을 세웠다.

“트럼프 미국 정부의 특징이 뭐냐면 기존 질서를 미국이 스스로 해체하고 있어요. 과거 동서 냉전이 해체될 때 해결하지 못한 것이 남북 관계 전쟁 종식입니다. 당시 평화체제를 구축하지 못했어요. 세계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북미간 수교와 북일관계 정상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로 전환한다면 굉장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법륜스님이 서울 서초동 정토사회문화회관 건물 옥상에 자리한 법당 문을 열어젖히며 기자를 맞이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