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인 바나나가 '기후 위기'로 위협받고 있다. 바나나는 밀, 쌀, 옥수수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식용 작물로 꼽힌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2일(현지시간) 전 세계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바나나 주요 재배 면적 중 거의 3분의 2가 2080년까지 바나나 재배에 부적합해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의 기아 퇴치 자선단체인 '크리스천 에이드'는 기온 상승과 극단적 날씨, 기후 관련 해충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등 바나나의 주요 산지를 강타해 수확량이 줄고, 지역 공동체가 무너지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내놨다.
전 세계 마트에 공급되는 바나나 수출 물량의 약 80%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국가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온실가스에 거의 아무런 책임이 없는 이 지역이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에 가장 취약한 곳 중 하나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수백 가지에 달하는 바나나의 품종 중 '캐번디시'가 최근 들어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맛도 괜찮고, 한기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나며 산출량도 많은 이유에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바나나는 기온이 섭씨 15∼35도에 충분한 물이 있어야 잘 자라고, 폭풍에 약해 기후에 민감한 과일로 꼽히는데 '캐번디시' 쏠림 현상은 유전적 다양성까지 저해해 바나나를 급속한 기후 변화에 취약하게 만들었다.
또 기후 위기는 재배 조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칠 뿐 아니라 이미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곰팡이성 전염병의 확산을 심화시킴으로써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크리스천 에이드'의 오사이 오지고 정책선전 국장은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과일일 뿐 아니라 수백만 명의 필수 식량이기도 하다"면서 "기후 변화가 이 필수 작물에 가하는 위험을 자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 위기를 초래하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삶과 생계가 이미 위협받고 있다. 오염물질을 배출하며 기후 위기에 대부분의 책임이 있는 부유한 국가들이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