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진이 뇌에 존재하는 세포 간 나노관 구조를 규명함
- 이 수상돌기 나노관 네트워크가 뇌세포 간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함
- 해당 네트워크는 뇌 신경세포의 정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내 여러 부서가 공동 연구에 참여함
- 연구에는 기초 연구부터 시각화, 검증, 기획, 감독까지 다양한 역할이 포함됨
연구 기관 및 참여 부서
- Solomon H. Snyder Department of Neurosci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D, USA
-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D, USA
주요 연구 역할
- 본 연구는 개념화, 자금 조달, 실험 조사, 방법론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자원 제공, 연구 감독, 결과 검증, 데이터 시각화, 논문 집필 및 검토 작업이 포함됨
- 여러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다학제적인 연구 환경을 구성함
연구의 의의
- 본 연구는 뇌 신경세포 간 새로운 형태의 소통 경로로서 수상돌기 나노관 구조의 존재 및 기능을 강조함
- 이러한 구조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세 나노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교환의 가능성을 제시함
- 이를 통해 뇌 내 신경회로 및 정보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