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레일건

6 hours ago 2

  • 농민 레일건은 D&D 5e 규칙 해석의 허점을 이용한 유머성 아이디어임
  • 이 방법은 수천 명의 농민이 한 줄로 서서 사다리 막대기를 순식간에 전달해 대량의 피해를 주는 방식임
  • 규칙상 이론적으로 한 턴(6초) 만에 2마일을 이동해 엄청난 속도와 피해량을 산출함
  • 현실의 물리 법칙과는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는 문제가 많고 농민들도 무사하지 못할 것
  • 대부분의 DM이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나, 유쾌한 이야기 소재로 쓰기에는 흥미로움

Peasant Railgun이란 무엇인가

  • 농민 레일건은 2008년 금융위기 말기에 1d4chan 커뮤니티에서 제안된 D&D의 이론적 트릭임
  • 파티는 2,280명의 농민을 한 줄로 세우고, 사다리 막대기를 분해해 적에게 던져 300d6 피해를 주는 방법임
  • 이 과정은 전투 한 라운드(6초) 만에 완료할 수 있으며, 재장전도 12초 이내에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임

Peasant Railgun의 작동 원리

  • 여러 D&D 규칙이 결합되어 작동함
    • 준비 행동(Ready Action): 각 농민이 자신의 반응(Reaction)으로 앞사람에게 막대기를 전달하도록 미리 상황을 지정함
    • 1라운드 시간: 한 라운드에 모두가 동시에 행동해 막대기가 2,280명을 거쳐 이동함
    • 캐릭터 크기 및 거리: 중형 크기인 인간이 한 명당 5피트 공간을 차지해 총 2마일(11,400피트) 길이의 선을 만듦
    • 5e 떨어지는 물체 규칙: 7파운드의 막대기가 60피트마다 2d6 피해를 주게 계산함(총 300d6 피해)
  • 이로 인해 막대기는 6초 동안 1,900마일/시간 속도로 적에게 전달됨

현실 물리와 규칙의 차이

  • RAW(규칙 그대로)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의 물리 법칙과 맞지 않음
    • 이런 속도로 무거운 막대기를 잡는 농민들은 대부분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음
    • 실제로는 막대기의 전달 속도가 인간이 견딜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함
    • 앞에 있는 농민도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며, 표적도 제대로 맞추기 어려움

DM의 허용 여부 및 활용 방안

  • 대부분의 DM은 농민 레일건을 허용하지 않을 것
  • 하지만 유쾌한 원샷(one-shot) 아이디어나, 마을 사람들이 한마음으로 힘을 합치는 상황을 그릴 때 심미적인 요소로 활용 가능함
  • 이 기법은 규칙 해석을 창의적으로 이용한 특이 사례로, D&D 커뮤니티에서 밈(meme)으로 널리 회자됨

참고 및 리소스

결론 및 활용 가능성

  • 농민 레일건은 D&D 5e의 규칙 구멍을 이용한 상상력 넘치는 밈임
  • 규칙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 상황에서는 비현실적임
  • 이야기나 유머 용도로 좋은 소재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