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만 빠는 줄 알았더니 감정도 있다는 이 곤충

1 day ago 2

문화

꿀만 빠는 줄 알았더니 감정도 있다는 이 곤충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스 치트카 교수팀은 벌들이 감정을 가질 수 있는지를 연구했으며, 실험 결과 벌들이 모형 거미의 공격을 경험한 후 꽃에 착륙하기를 주저하게 되는 행동을 보였다.

벌들은 포식자의 위협이 없는 꽃조차 거부하며, 이것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치트카 교수는 벌들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감정과 자아 인식 능력을 가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벌의 마음 라스 치트카 지음, 고현석 옮김 형주 펴냄, 3만원

벌의 마음 라스 치트카 지음, 고현석 옮김 형주 펴냄, 3만원

벌도 감정을 갖고 있을까. 라스 치트카 영국 퀸메리대 감각행동생태학 교수팀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벌들이 꽃에 앉을 때마다 모형 게거미의 공격을 받도록 했다. 이후 벌의 태도는 완전히 달라졌다. 꽃에 내려앉길 매우 주저하게 된 것은 물론, 착륙 전 모든 꽃을 광범위하게 살펴봤다. 그리고 꽃에 거미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도 착륙하기를 거부하는 벌도 나타났다. 벌들은 공격을 받은 지 며칠이 지난 후에도 이런 불안 행동을 계속했고, 때로는 마치 유령을 보는 것처럼 행동하기도 했다. 일종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호소한 것이다. 치트카 교수는 "벌들은 포식의 위협이 전혀 없는, 완벽하게 좋은 꽃조차 거부하는 기이한 심리적 효과를 보여줬다"며 "이는 인간의 부정적인 감정과 동일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신간 '벌의 마음'은 30년간 꿀벌 연구에 매진해온 치트카 교수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책이다. 꿀벌의 감각과 인지능력에 관한 모든 것을 담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에 따르면 벌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똑똑하다.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숫자까지 식별하며,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간단한 도구 사용법과 추상적 개념을 학습할 수 있다. 또 벌은 사람과 비슷한 감정을 지녔으며 계획과 상상이 가능하고, 자신을 다른 벌과 구별되는 독특한 존재로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트카 교수는 "벌들은 감정과 비슷한 상태를 느낄 수 있다"며 "벌들에게 어느 정도의 의식적 자각이 있다는 암시적 증거가 나왔다"고 밝혔다. 치트카 교수는 벌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훈련을 진행한 결과도 공개했다. 벌에게 흑백으로 된 사람의 얼굴 사진 여러 장을 보여준 뒤, 그중 정해진 하나를 고르면 설탕을 보상으로 주는 방식이었다. 반복된 실험에 참여한 벌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얼굴 사진 가운데 연구진이 의도한 얼굴을 찾아냈다. 그는 "12~24회의 훈련만 거치면 벌들이 이 같은 얼굴인식 과제를 능숙히 수행한다"고 밝혔다.

[송경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