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이 평양서 미사를 집전했다면

1 day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을 받았으나 최종적으로 북한 방문에 성공하지 못한 배경을 상세히 설명한 기사가 보도되었다.

교황은 북한에 종교의 자유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방북을 시도했으며, 이에 필요한 조건들을 교황청이 북한에 요구했으나, 북·미정상회담의 실패로 계획이 무산되었다.

저자는 트럼프의 복귀를 이유로 다시 교황의 방북 프로젝트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평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나는 갈 것이다 소노 디스포니빌레 이백만 지음, 메디치미디어 펴냄, 2만2000원

나는 갈 것이다 소노 디스포니빌레 이백만 지음, 메디치미디어 펴냄, 2만2000원

"소노 디스포니빌레(나는 갈 것이다)."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에 승낙의 메시지를 띄우자 한반도가 발칵 뒤집혔다. 북한은 교황청과 미수교국일 뿐 아니라 가톨릭 사제가 없는 전 세계 유일한 나라다. 이러한 북한에 가고자 했던 교황은 끝내 성공하지 못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주교황청 한국 대사를 지낸 저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 목적, 실패 이유까지 낱낱이 밝혔다. 교황은 선교자로서 가톨릭 황무지인 북한에 신앙의 씨앗을 뿌리고 북한에 종교의 자유를 이끌어내고자 방문하려 했다. 저자는 교황청이 북한에 요구한 '방북을 위한 5개 조건'을 공개했다. 가톨릭 공동체의 법적 지위 확보, 교황청이 인정한 신부의 미사 집전 허용, 가톨릭 신자의 자유로운 미사 참례, 모든 종교범 석방, 종교단체의 인도적 지원 허용 등 북한에 종교의 자유를 조금이나마 확보하고자 한 교황청의 선교 목적이 담긴 조건들이었다. 하지만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북·미정상회담이 '하노이 노딜'로 끝나면서 방북 프로젝트도 물거품이 됐다. 저자는 지금 다시 교황 방북 프로젝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로 트럼프의 복귀를 꼽았다. 그는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교황 방북 프로젝트는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윤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