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전 사재기…美항구 컨테이너선 '북새통'

2 week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업계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물동량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 7월 바이든의 전격적인 후보 사퇴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후보 바통을 이어받으면서 관세 조치 시행 시기는 계속 순연되고 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중국산 전기차에는 기존의 4배인 10%, 태양광 전지는 기존의 2배인 50%, 리튬이온 배터리와 철강 등 전략적 상품에는 신규 25% 관세가 8월 1일부터 부과돼야 했는데 미 무역대표부(USTR)는 1100건 이상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반영한다면서 발효 시점을 9월로 연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분기 사상 최대 물동량
대선 앞두고 대중 고관세 예고
부두 노동자 파업 우려 겹치며
상품 비축하려는 업체들 분주
전세계 컨테이너선 수요 폭증

사진설명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업계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물동량을 기록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두 후보 모두 중국과의 '관세 전쟁'을 예고한 가운데 수입업자들이 미리 '사재기'에 나선 탓이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영국 컨테이너 물동량 집계 기관인 CTS를 인용해 올 2분기 전 세계 컨테이너선 물동량이 4640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종전 기록인 2021년 2분기의 4620만TEU를 초과한 규모다.

존 매카운 미 해양전략센터(CMS) 선임 펠로 연구원이 전날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업계 이익은 102억달러(약 13조6500억원)로 전 분기 대비 두 배 가까이 반등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당시 컨테이너선 부족으로 운임이 치솟으면서 2022년 2분기 업계 이익이 631억달러를 기록했지만, 이후 하락세를 그리며 지난해 4분기에는 컨테이너 운송업계가 분기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컨테이너선 수요가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대선을 앞두고 새로운 대중 관세 도입과 미 동부 해안 부두 파업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미국 수입업체들이 상품을 미리 주문해 비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 서부 대표 관문인 로스앤젤레스(LA)항과 롱비치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 7월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대중국 고관세 우려가 갈수록 커지면서 수출과 수입을 앞당기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7월 LA항 물동량은 93만9600TEU로 전년 대비 37%나 증가했다. 이는 7월 기준으로 LA항 116년 역사상 최고치다. 2분기부터 중국발 해외 물동량이 미친 듯이 증가한 것은 지난 5월 조 바이든 정부의 대중 관세 인하 발표 때문이다. 새로운 관세 조치가 발효되기 전에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수입 물량이 급증하고 중국발 컨테이너선 싹쓸이 현상까지 나타났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5월 중국의 과잉 생산과 불공정한 무역 관행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반도체, 전기차, 태양광 패널 등 중국산 수입품 180억달러(약 24조6000억원) 상당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대권 경쟁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압박에 상응해 바이든 대통령도 비슷한 대중 반격 카드를 꺼낸 것이다.

그러나 지난 7월 바이든의 전격적인 후보 사퇴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후보 바통을 이어받으면서 관세 조치 시행 시기는 계속 순연되고 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중국산 전기차에는 기존의 4배인 10%, 태양광 전지는 기존의 2배인 50%, 리튬이온 배터리와 철강 등 전략적 상품에는 신규 25% 관세가 8월 1일부터 부과돼야 했는데 미 무역대표부(USTR)는 1100건 이상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반영한다면서 발효 시점을 9월로 연기했다. 당초 8월 말에 확정안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이 일정은 또 한 번 며칠 뒤로 연기됐다.

미국 항만 노동자들이 9월 말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사재기를 부추겼다. 미 동부 및 걸프 연안 항만 노조인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는 항만 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극렬하게 반대하며 미국해양협회(USMX)와의 새 노사 협정에 고용 안정 조항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 협정이 만료되는 오는 30일까지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파업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요 절벽에 직면한 중국 철강업체들이 저가에 제품을 수출하는 이른바 '밀어내기' 물량까지 겹치면서 코로나 팬데믹발 물류 병목이 정상화한 국면 이래로 사상 최대 물류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

[문가영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