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내에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19일 공개적으로 나왔다. 연구윤리 위반 의혹과 전문성 부족이 인사청문회에서 드러난 이상 함량 미달이라는 취지에서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명했으니 무조건 임명을 밀고 가야 한다'는 접근은 국민에게 오만으로 비칠 수 있다"면서 이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초선 시절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강 의원은 "제가 만나온 교육계 인사들과 시민사회는 이해관계자가 아닌 시민의 시각에서 우려를 전하고 있다"며 "특히 이 후보자는 교육부 장관으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진보와 중도를 넘어 교육계 전반에서, 그리고 국민 다수로부터 폭넓게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현재 교육위 소속은 아니지만 교육을 늘 고민해온 사람으로서 저 역시 이 우려에 깊이 공감한다"며 "교육부 수장은 단순한 고위공직자가 아니라 교육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재명 정부 초반인 만큼 더더욱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국정의 안정성과 개혁의 동력, 지지율, 그리고 국민의 상식과 눈높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교육계 전반과 국민이 함께 우려하는 목소리를 외면하고 임명을 강행한다면, 그 비판은 고스란히 이재명 정부의 개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교육은 백년대계이고, 더 신중해야 하고, 더 엄격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이 후보자께서 국가와 교육의 미래를 위해 현명한 결단을 내려주시길 요청드린다"고 호소했다. 이어 "자진사퇴는 이재명 정부의 교육개혁 의지를 지키는 길이며, 공직자로서 마지막 책임을 다하는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장관 인사청문회) 내용 중 결격에 이를 사유가 없었다"며 "상임위에서 요청한 내용을 대통령 비서실에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의 중심에 선 이 후보자뿐 아니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까지 "둘 다 청문보고서를 채택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