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무역 상대국들을 향해 보복 시 추가 관세를 경고하며 “순순히 받아들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 뉴스에 “모든 국가에 보내는 충고는 보복에 나서지 말라는 것”이라며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보복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 조치가 없다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도 “보복하지 않는 한 발표된 관세가 가장 높은 수치일 것”이라며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 실제로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관세율을 높일 권한이 있다고 발표했다.
다만 협상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날 그는 블룸버그 TV에 “협상과 관련해서는 좀 더 지켜보자”고 말했다. 다른 국가들이 무역 협상을 위해 미국 측에 접촉하고 있지만, 미국 정부가 당분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한 34%의 상호관세가 발표된 중국의 대응에 대해 묻자 “그들이 어떻게 할지 지켜보자”고 밝혔다.이날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의 취지에 대해 “장기적인 경제성장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과도한 정부 지출을 감안하면 미국의 경제 성장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경제를 정상궤도로 올려놨다고 밝혔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가 장기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런 위원장은 달러 가치를 낮추기 위해 관세를 통해 무역 상대국을 압박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미런 보고서‘를 작성해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의 설계자로 불린다.
김보라 기자 purple@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