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동일본대지진 이후 14년만에 원전 신설 추진

5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간사이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처음으로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부지에 새로운 원전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간사이전력은 원전의 신설을 위한 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며, 일본 정부는 2040년까지 전력에서 원전 비율을 20%로 올리기 위해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2배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원전 신설 추진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가치 인식이 변화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간사이전력, 정부 ‘원전 최대한 활용’ 방침 속 검토

일본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교도 연합뉴스]

일본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교도 연합뉴스]

일본에서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처음으로 원전 신설이 추진된다.

19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간사이전력은 혼슈 중서부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부지에 원전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간사이전력은 이르면 다음 주쯤 후쿠이현 지자체에 이 같은 구상을 설명하고, 원전 신설을 위한 조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할 계획이다.

이 업체는 동일본 대지진 직전인 2010년 노후화한 미하마 원전 1호기를 대체할 원전을 짓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중단했다. 미하마 원전 1∼2호기는 폐기가 결정됐고, 지금은 3호기만 가동되고 있다.

아사히는 “미하마 원전 주변 지질과 지형 조사를 재개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면서도 원점에서 관련 사업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전했다.

모리 노조무 간사이전력 사장은 원전 신·증설과 관련해 “검토를 시작해야 할 시기가 왔다”고 강조해 왔다.

간사이전력은 후쿠이현에서만 원전 7기를 가동하고 있으나, 그중 5기는 운전을 개시한 지 40년이 넘었다.

일본에서 원전은 60년 이상 가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신설에 20년가량 걸려 간사이전력이 새 원전 건설에 착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 의존도를 낮춰 왔던 일본은 올해 방침을 전환해 향후 원전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전력 구성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존 8.5%에서 2040년에는 20%로 올리기로 했는데,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2배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일본은 폐기된 원전 부지 활용을 염두에 두고 기존 원전 부지에 차세대형 원자로 건설을 추진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간사이전력 관계자는 “대지진 직후와 비교하면 원자력의 가치를 인정하는 사람이 증가했다”며 “우리가 처한 환경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건설된 원전은 2009년에 가동된 홋카이도전력의 도마리 원전 3호기”라며 “정부가 탈탄소 목표 달성에 필요하다고 규정한 원전 활용이 시작된다”고 해설했다.

한편,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수거한 흙인 ‘제염토’ 일부를 도쿄 총리 관저로 반입하는 작업이 이날 시작됐다.

제염토가 후쿠시마현 밖에서 재활용되는 것은 처음으로, 일본 정부는 관저 정원에 60㎝ 높이로 깐 뒤 그 위에 보통의 흙을 덮어 잔디를 기를 계획이다.

일본은 2045년까지 후쿠시마현 중간 저장 시설에 있는 제염토와 폐기물을 후쿠시마현 외부로 옮겨 처분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