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미국 보스턴대와 이탈리아 보코니대 공동연구진이 2010∼2020년 올라온 채용공고 1억8000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 지역 대기업의 채용 패턴이 스타트업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먼저 대기업 채용이 늘어날 때 같은 지역의 스타트업은 핵심 직무에 대해 최대 10% 높은 급여를 제시해야 했다. 이로 인해 회사의 예상 성장률은 3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잠식 효과는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STEM)과 경영, 영업 등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핵심 직무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다만 대기업과 비즈니스 모델이 유사할수록 스타트업 성장에 갖는 잠식 효과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유사한 스타트업은 성장률이 20% 감소하는 데 그친 반면에 유사하지 않은 스타트업은 최대 60%까지 감소했다.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스타트업은 이번 연구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첫째, 필요한 인재를 신중히 분석해야 한다. 새로운 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대기업의 진출 여부를 포함한 종합적인 환경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는 동일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의 대기업도 포함된다. 사업 방향의 전환을 고민 중이라면 기존 대기업의 기술과 상호 보완할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대기업과 비즈니스 모델이 유사한 스타트업의 경우 성장에 있어서 받는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둘째, 인재 경쟁에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혼잡한 지역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은 대기업과의 임금 경쟁을 피할 여러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내부 승진 기회를 강조하거나 직원이 조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고, 강력한 고용주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잠식 효과가 특히 두드러지는 관리, STEM, 영업 분야 직무에는 특별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노동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거나 개인 네트워크가 고갈됐다면, 혹은 헤드헌팅 비용이 부담스럽다면 인재 확보를 위한 대안을 탐색해야 한다. 원격근무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지역적 제약을 극복하거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또한 인턴십과 견습 프로그램, 대학과의 협력, 근거리 및 해외 아웃소싱 등을 통해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색적인 경력과 배경을 가진 인재에게도 문을 열어 인재 풀을 확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셋째, 지역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 주변 기업 환경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정책 방향성도 중요하다. 일부 지역은 대기업과 창업 커뮤니티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특별한 정책을 시행한다. 예를 들어 대기업 유치를 위해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대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외에 노동시장 혼잡으로 나타날 부정적 효과와의 균형을 고려하는 지역도 있다. 대기업 유치 전략이 특정 산업에 집중됐거나 퇴사 후 일정 기간 동안 동종 업체로의 이직을 제한하는 경쟁금지 계약을 시행하지 않는 지역이라면 스타트업에 더욱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대기업 인근에 위치할 경우 대기업의 채용 패턴이 스타트업의 확장 능력을 제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스타트업이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제시해야 한다면 한정된 재정 자원이 소진돼 다른 분야의 성장에 투자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연구 결과를 지역 분석에 반영하고 인재 확보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다면 스타트업은 치열한 인재 전쟁 속에서도 성장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이 글은 HBR(하버드비즈니스리뷰) 한국어판 디지털 아티클 ‘대기업 옆에 찰싹, 스타트업에 득일까 독일까?’를 요약한 것입니다.
짐 베센 미국 보스턴대 기술 및 정책 연구 이니셔티브 전무이사
펠릭스 포게 이탈리아 보코니대 경영 및 기술학과 조교수
로냐 뢰트거 보스턴대 기술 및 정책 연구 이니셔티브 펠로
정리=최호진 기자 hojin@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