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30주년을 맞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부터 경쟁영화제로서 새 출발을 선언하며 경쟁 섹션의 주요 수상 부문과 경쟁상 신규 트로피를 공개했다. 아울러 개·폐막식의 운영 구조에도 변화를 줄 것이라고도 예고했다.
![]() |
29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비프힐에서 정한석(맨 왼쪽부터)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박광수 이사장, 박가언 수석프로그래머 등이 올해 제30회를 맞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새로운 변화에 대해 소개하는 기자간담회가 갖고 있다. (사진=뉴시스/부산) |
29일 오후 부산 영화의전당 비프힐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기자간담회에는 박광수 이사장과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 박가언 수석프로그래머가 참석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온라인 생중계로도 진행됐다.
이날 영화제 측은 올해부터 국제 경쟁 부문을 신설하는 등 경쟁영화제로의 변화에 담긴 의미와 주요 섹션, 시상 부문의 변화 등 영화제 세부 계획 및 변화를 직접 발표했다. 또 30회를 맞이해 새 단장한 로고 및 영화제의 지나온 시간을 기념하는 히스토리 영상도 최초 공개했다.
올해 영화제는 매년 10월에 열어온 기존과 달리 약 한 달을 앞당겨 9월에 개최한다.
박광수 이사장은 “올해부터 부산국제영화제는 한 해를 대표하는 최고의 아시아 영화를 선정하는 경쟁 부문과 부산 어워드(Busan Award)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아시아 영화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소개하는 한편, 세계 영화계에서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경쟁 부문은 약 14편 내외의 작품들을 선정해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을 비롯한 주요 상영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엄정한 심사를 거쳐 폐막식에서 시상할 예정이며, 시상 부문은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5개 부문이다.
또한, 경쟁 부문과 비전 부문에 상영되는 데뷔작 감독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심사위원단이 1편을 선정해 뉴 커런츠상(New Currents Award)을 수여한다. 새로운 세대의 영화 창작자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영화제의 역할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박광수 이사장은 “경쟁 부문의 시상 트로피는, 아시아 영화계의 거장이자 설치미술가로 태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인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이 디자인을 맡았다”고 귀띔했다.
개막식과 폐막식 운영 방식도 새롭게 개편한다. 박 이사장은 “올해부터 신설된 경쟁 부문과의 연계를 강화해, 폐막식에서는 경쟁 부문 시상식을 중심으로 진행하며 별도로 폐막작을 초청하는 대신 대상 수상작을 폐막작으로 선정해 시상식에 이어 상영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경쟁영화제로서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더욱 분명히 하고, 수상작의 의미를 관객들과 함께 나눌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개·폐막식의 연출은 영화 ‘파과’로 최근 신작을 선보이는 민규동 감독이 맡게 됐다.
아시아 대표 영화제, 국제경쟁영화제로서 다양성과 풍성함을 위해 공식 초청작 선정 규모도 늘렸다.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축소되었던 공식 상영작 편수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회복하며, 영화제 본연의 풍성함과 다양성을 되찾을 것”이라며 “지난해 63개국 224편의 공식 상영작을 상영하며 성장세를 지속해왔다. 올해는 제30회를 맞아 상영작 규모를 약 240~250편 내외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팬데믹과 여러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한동안 축소하고 운영되지 못했던 포럼 비프 세션도 올해부터 본격 재개한다. 정 위원장은 “포럼비프에서는 한국영화가 직면한 위기를 진단하고, 아시아 영화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고, 세계 영화의 중요한 흐름을 짚어 본다”며 “이는 학계와 산업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부응하여 마련된 자리로, 포럼비프를 통해 한국영화와 아시아 영화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논의의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열심히 프로그래머들이 준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한편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오는 9월 17일 개막해 9월 26일까지 열흘간 부산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열린다.